연료 발열량 표 |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9868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연료 발열량 표 –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azzett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azzett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에듀강닷컴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7,386회 및 좋아요 48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연료 발열량 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연료 발열량 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류수정 : (16:11) 메탄의 기호는 CH가 아닌 CH4입니다.
강의중 실수한 부분 입니다. ㅜㅠ
질의응답은 공식사이트로 오셔서 해주세요.
유튜브 댓글로 질문하실 경우 답변 어려울수 있습니다.
산업설비 전문 카페 에듀강닷컴[동영상강의]공식사이트 : http://edukang.com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win1008kr
티스토리 : http://edukang.tistory.com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Kkangsem
교사 : 강진규

연료 발열량 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열량환산기준표

“순발열량”이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제외한 발열량을 말한다. 3. “석유환산톤”(toe: ton of oil equivalent)이란 원유 1톤이 갖는 열량으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etis.kemco.or.kr

Date Published: 2/4/2022

View: 7563

연료별발열량 – 수도공사닷컴

연료별 발열량. 수도공사닷컴. [ 연료별 발열량 <석유환산기준> ]. – 에너지관리공단자료 -. 구 분. 환 산 기 준. 석 유 환 산. 비고. 단 위. 발 열 량. 단 위.

+ 여기를 클릭

Source: www.sudo.info

Date Published: 4/21/2022

View: 7353

기술단위 환산표 – 서울에너지공사

연료별 발열량 설명표. 구분, 단위, 연료발열량(저위, 고위)로 구성. 구분, 단위, 연료발열량. 저위 발열량, 고위 발열량. L N G, kcal/N㎥, 9,500, 10,500.

+ 더 읽기

Source: www.i-se.co.kr

Date Published: 5/19/2021

View: 4211

[별표] <개정 2017. 12. 28.>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제5조제1항 …

총발열량. 순발열량. MJ kcal. 석유환산톤. (10-3toe) … “총발열량”이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발열량을 말한다.

+ 더 읽기

Source: law.go.kr

Date Published: 12/3/2022

View: 4586

환경에너지 – Daum 블로그

답: 연료의 발열량이란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이며 고체 및 액체연료의 경우에는 그 단위 중량(1kg)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0/10/2021

View: 56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은 – 산업통상자원부

“순발열량”이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제외한 발열량을 말한다. 3. “석유환산톤”(toe: ton of oil equivalent)이란 원유 1톤(t)이 갖는 열량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motie.go.kr

Date Published: 4/23/2022

View: 5715

에너지열량환산 – 에너지경제연구원

“총발열량”이라 함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발열량을 말한다. “석유환산계수”라 함은 에너지원별 열량을 석유환산량(TOE)로 환산하기 위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keei.re.kr

Date Published: 4/11/2021

View: 8663

6. 연료의 발열량

연료의 조성에 따른 발열량은 [표 2-4]. 와 같다. 폐기물소각과. 대기오염처리기술. 6. 연료의 발열량. 6-1. 연료 발열량의 정의 및 구분. 연료의 단위량(기체 연료의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3/10/2021

View: 4504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적용 메뉴얼 – 네이버 블로그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참고표) 5. 3. 비중 및 중량단위 발열량 6. 4. 과거의 에너지원별 발열량 7. Ⅲ. 제품별 발열량 설정근거 10. 1. 석유 10.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2/2022

View: 161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연료 발열량 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연료 발열량 표

  • Author: 에듀강닷컴TV
  • Views: 조회수 17,386회
  • Likes: 좋아요 487개
  • Date Published: 2018. 4.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K_RknHwDYc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적용 메뉴얼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적용 메뉴얼

목 차

Ⅰ. 기본방향 1

1. 단위 1

2. 총발열량과 순발열량 1

3. 산정 및 적용기준 1

가. 산정기준 1

나. 적용기준 2

4. 신규항목의 추가?항목의 분할 2

5. 실시년도 2

6. 개정주기 2

Ⅱ.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3

1. 에너지열량 환산기준(기본표) 3

2.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참고표) 5

3. 비중 및 중량단위 발열량 6

4. 과거의 에너지원별 발열량 7

Ⅲ. 제품별 발열량 설정근거 10

1. 석유 10

2. 석탄 20

3. 전력 19

4. 가스 24

Ⅳ. 폐지 ? 통합된 에너지원 27

Ⅰ. 기본 방향

1. 단위

에너지원별 발열량은 종래 사용하던 kcal단위와 국가표준기본법, 계량에 관한 법률에 따라 표준 단위계(J 단위)를 병행하여 표기한다.

? 단위 표시는 kcal로 하고, MJ(106 J)를 보조단위로 한다.(법정계량단위 : 국제단위계 SI 사용)

? kcal와 J의 관계 : IEA / 미국의 환산기준을 이용한다.

– 1,000 0 kcal = 4.186 8 kJ

– 1,000 0 kJ = 0.238 8 kcal (위의 역수)

2. 총발열량과 순발열량

? 총발열량(Gross Calorific Value): 시료를 열량계로 연소할 경우 연소가스 중의 수증기가 가지는 응축잠열 및 현열을 포함한 발열량. (KSM 2057, KSM ISO 6976 참조)

? 순발열량(Net Calorific Value ) : 총발열량에서 연소가스 중의 수증기가 갖는 응축잠열 및 현열을 제외한 발열량

3. 산정 및 적용기준

가. 산정기준

유효 숫자를 3자리로 설정하여 표준단위(kcal)는 50 kcal 단위로 표시하고, 줄(J 표시)단위는 MJ로 하고 소숫점 이하 한자리로 반올림으로 한다.

각 에너지원별 시료 채취에 의한 실제 측정값을 근거로 발열량을 산정함을 원칙으로 하고, 에너지원별 실측치 또는 환산에 의한 자료를 보조 자료로 삼는다.

나. 적용기준

에너지사용계획 협의대상(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 8조), 에너지관리기준 고시대상(동법 제 24조), 에너지진단 대상 및 에너지사용량(동법 제 25조)의 신고 대상자 여부를 판단하거나 에너지통계(에너지기본법 제 19조) 작성에는 에너지열량환산기준 중 총발열량을 적용한다.

IEA제출통계,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온실가스 배출통계 작성등에는 국제기준이 요구하는 에너지열량환산기준을 적용한다.

4. 신규 항목의 추가?항목의 분할

용도와 성상이 다르고 발열량이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 또는 세부 항목을 참고치로서 설정하여 분할한다.

5. 실시년도

2006년 개정 후의 에너지열량환산기준는, 2006년도 이후 이것을 적용한다.

6. 개정주기

에너지열량환산기준는 5년을 주기로 하여 개정하되, 산업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개정할 수 있다.

Ⅱ. 에너지열량 환산 기준표

1. 에너지열량환산기준(기본표)

[ 총발열량 ]

제품 단위 총발열량 석유환산계수 비고 kcal 동MJ 환산 원 유 kg 10,750 45.0 1.075 휘 발 유 ℓ 8,000 33.5 0.800 실 내 등 유 ℓ 8,800 36.8 0.880 보일러등유 ℓ 8,950 37.5 0.895 경 유 ℓ 9,050 37.9 0.905 B – A 유 ℓ 9,300 38.9 0.930 계산 B – B 유 ℓ 9,650 40.4 0.965 계산 B – C 유 ℓ 9,900 41.4 0.990 프 로 판 kg 12,050 50.4 1.205 KS자료 부 탄 kg 11,850 49.6 1.185 KS자료 나 프 타 ℓ 8,050 33.7 0.805 용 제 ℓ 7,950 33.3 0.795 항 공 유 ℓ 8,750 36.6 0.875 항공유통합 아 스 팔 트 kg 9,900 41.4 0.990 윤 활 유 ℓ 9,250 38.7 0.925 석 유 코 크 kg 8,100 33.9 0.810 부생연료1호 ℓ 8,850 37.0 0.885 부생연료2호 ℓ 9,700 40.6 0.970 천연가스(LNG) kg 13,000 54.5 1.300 도시가스(LNG) N㎥ 10,550 44.2 1.055 도시가스(LPG) N㎥ 15,000 62.8 1.500 국내무연탄 kg 4,650 19.5 0.465 수입무연탄 kg 6,550 27.4 0.655 유연탄(연료용) kg 6,200 26.0 0.620 유연탄(원료용) kg 7,000 29.3 0.700 아 역 청 탄 kg 5,350 22.4 0.535 코 크 스 kg 7,050 29.5 0.705 전 력 kWh 2,150 9.0 0.215 효율40.20% 신 탄 kg 4,500 18.8 0.450

[ 순발열량 ]

제품 단위 순발열량 석유환산계수 비고 kcal 동MJ 환산 원 유 kg 10,100 42.3 1.010 휘 발 유 ℓ 7,400 31.0 0.740 실 내 등 유 ℓ 8,200 34.3 0.820 보일러등유 ℓ 8,350 35.0 0.835 경 유 ℓ 8,450 35.4 0.845 B – A 유 ℓ 8,750 36.6 0.875 계산 B – B 유 ℓ 9,100 38.1 0.910 계산 B – C 유 ℓ 9,350 39.1 0.935 프 로 판 kg 11,050 46.3 1.105 KS자료 부 탄 kg 10,900 45.7 1.090 KS자료 나 프 타 ℓ 7,450 31.2 0.745 용 제 ℓ 7,350 30.8 0.735 항 공 유 ℓ 8,200 34.3 0.820 항공유통합 아 스 팔 트 kg 8,350 39.1 0.835 윤 활 유 ℓ 8,650 36.2 0.865 석 유 코 크 kg 7,850 32.9 0.785 부생연료1호 ℓ 8,350 35.0 0.835 부생연료2호 ℓ 9,200 38.5 0.920 천연가스(LNG) kg 11,750 49.2 1.175 도시가스(LNG) N㎥ 9,550 40.0 0.955 도시가스(LPG) N㎥ 13,800 57.8 1.380 국내무연탄 kg 4,600 19.3 0.460 수입무연탄 kg 6,400 26.8 0.640 유연탄(연료용) kg 5,950 24.9 0.595 유연탄(원료용) kg 6,750 28.3 0.675 아 역 청 탄 kg 5,000 20.9 0.500 코 크 스 kg 7,000 29.3 0.700 전 력 kWh 2,150 9.0 0.215 효율40.20% 신 탄 kg – – –

주 : 1. 석유환산계수는 에너지원별 발열량을 1kg=10,000kcal로 환산한 값임

2. 최종에너지사용기준으로 전력량을 환산하는 경우에는 1kWh=860kcal를 적용함

3. 원별 실측결과는 50kcal로 반올림

4. 석탄의 발열량은 인수식 기준임

5. 1cal=4.1868 J

6. N㎥ : 0℃, 1기압 상태의 체적임

2.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참고표)

ㅇ본 표는 기본표에 없지만 에너지발란스 작성 및 IEA제출통계 작성등에 활용되는 제품의 열량 환산기준이다.

[ 총발열량 ]

제품 단위 총발열량 비 고 kcal 동MJ 환산 오 리 멀 젼 ℓ 7,250 30.4 제품사양서 파 라 핀 왁 스 kg – – 정 제 가 스 N㎥ 7,000 29.3 정유사 자료 정 제 원 료 ℓ 8,050 33.7 나프타 발열량 기타석유제품 kg 11,700 48.9 KS규격 BFG (고로가스) N㎥ 800 3.3 제철소 자료 CFG(코렉스가스) N㎥ 1,900 8.0 제철소 자료 COG(코크스오븐가스) N㎥ 4,200 17.6 제철소 자료 LDG(전로가스) N㎥ 1,950 8.2 제철소 자료

주1) 부생가스는 건식기준 총발열량( 0℃, 1기압기준)

2) N㎥은 0℃, 1기압 상태에서의 기체부피를 의미함

[ 순발열량 ] 제품 단위 순발열량 석유환산계수 kcal 동MJ 환산 오 리 멀 젼 ℓ 6,700 28.1 제품사양서 파 라 핀 왁 스 kg 9,600 40.2 IPCC 자료 정 제 가 스 N㎥ 6,300 26.4 정유사자료 정 제 원 료 ℓ 7,450 31.2 나프타 발열량 기타석유제품 kg 10,950 45.8 KS규격

3. 비중 및 중량단위 발열량

가. 석유류

제품 비중 (kg/ℓ) 배럴환산 (배럴/톤) 총발열량 (MJ/kg) 순발열량 (MJ/kg) 비고 원 유 0.8529 7.375 45.0 42.3 오 리 멀 젼 1.0090 6.234 30.1 27.8 제품사양서 휘 발 유 0.7240 8.688 46.3 42.8 실 내 등 유 0.7974 7.888 46.1 43.0 보일러등유 0.8227 7.645 45.6 42.5 경 유 0.8346 7.536 45.4 42.4 B – A 유 0.8688 7.240 44.8 42.1 계산 B – B 유 0.9145 6.878 44.2 41.7 계산 B – C 유 0.9487 6.630 43.6 41.2 프로판(kg/N㎥) 1.9671 12.38 50.4 46.3 KS 자료 부탄 (kg/N㎥) 2.5929 10.88 49.6 45.7 KS 자료 나 프 타 0.7000 8.986 48.1 44.6 용 제 0.6892 9.126 48.3 44.7 항 공 유 0.7947 7.915 46.1 43.2 항공유 통합 아 스 팔 트 1.0388 6.055 41.4 39.1 윤 활 유 0.8336 7.546 46.4 43.4 석 유 코 크 1.1943 5.267 33.9 32.9 부생연료1호 0.8107 7.759 45.6 43.2 부생연료2호 0.9353 6.725 43.4 41.2

나. 가스류

제품 비중 (kg/N㎥) 환산계수 (N㎥/ton) 총발열량 (MJ/kg) 순발열량 (MJ/kg) 비고 LNG 0.8110 1,233 54.5 49.2 2004년기준

4. 과거의 에너지원별 발열량

가. 에너지열량환산기준(기본표)

구분 환 산 기 준 (발열량) 비고 단위 1980 1981 1987 1990 석 유 류 원 유 휘 발 유 납 사 등 유 경 유 방카 A 유 방카 B 유 방카 C 유 제 트 A-1 JP – 4 ㎉/㎏ ㎉/ℓ ㎉/ℓ ㎉/ℓ ㎉/ℓ ㎉/ℓ ㎉/ℓ ㎉/ℓ ㎉/ℓ ㎉/ℓ 10,000 8,300 8,000 8,700 9,200 9,500 9,200 9,900 – – 10,000 8,300 8,000 8,700 9,200 9,400 9,700 9,900 8,700 8,500 10,000 8,300 8,000 8,700 9,200 9,400 9,700 9,900 8,700 8,500 10,000 8,300 8,000 8,700 9,200 9,400 9,700 9,900 8,700 8,500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통계폐지 가 스 류 프로판가스 부 탄 가 스 도 시 가 스 도 시 가 스 도 시 가 스 천 연 가 스 천 연 가 스 ㎉/㎏ ㎉/㎏ ㎉/N㎥ ㎉/N㎥ ㎉/N㎥ ㎉/N㎥ (㎉/㎏) 12,000 11,800 7,000 11,000 – – – 12,000 11,800 7,000 11,000 – – 9,500 12,000 11,800 7,000 – 15,000 – (12,980 12,000 11,800 – – 15,000 10,500 (13,000) 수치갱신 수치갱신 생산폐지 생산폐지 수치갱신 수치갱신 수치갱신 석 탄 류 무연탄/국내 유 연 탄 코 크 스 ㎉/㎏ ㎉/㎏ ㎉/㎏ 4,600 6,600 6,500 4,600 6,600 6,500 4,500 6,600 6,500 4,500 6,600 6,500 항목분할항목분할 수치갱신 기 타 신 탄 전 기 ㎉/㎏ ㎉/㎾h 4,500 2,500 4,500 2,500 4,500 2,500 4,500 2,500 – 수치갱신

주) 최종에너지 사용기준으로 전력량을 환산할 경우 1KWh=860kcal를 적용하며, 도시가스의 작성기준은 10,500kcal, 기타 증기는 0.0539 toe/ton, 온수는 0.1toe/Gcal적용

나. 석탄

① 국내탄

[kcal/kg]

년도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열량 5,352 5,330 5,257 5,330 5,114 5,140 4,993 5,167 4,976 5,023 년도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열량 5,000 4,937 4,916 4,828 4,739 4,660 4,635 4,679 4,658 4,600

주) 88년 이후 4,500kcal/kg 적용

② 수입무연탄

[kcal/kg]

년 도 ‘78 ‘79 ‘80 이후 비고 열 량 6,200 6,000 6,000

③ 유연탄 및 코크스

[kcal/kg]

원 별 열 량 비 고 유 연 탄 6,600 연도별 변동없음 코 크 tm 6,500 “

다. 석유류(1979년 기준)

[kcal/ℓ]

유 종 별 열 량 유 종 별 열 량 유 종 별 열 량 휘 발 유 8,300 JP – 4 8,900 프 로 판 6,400 등 유 8,900 벙커 A유 9,500 부 탄 6,400 경 유 9,200 벙커 B유 9,500 납 사 7,800 제트 A-1 8,900 벙커 C유 9,900

라. 전력

[kcal/KWh]

공급량 출력량 비 고 2,500 860 1차에너지에서 공급량기준, 최종에너지에선 출령량기준을 사용

마. 신탄

열량 비 고 2,800 임산물 및 농산 부산물 모두 동일한 열량 적용

주) 4,500은 기건상태 열량임

Ⅲ. 제품별 발열량 설정근거

1. 석유

□ 원유

총발열량 10,750 kcal/kg (45.0MJ/ℓ) ← 10,000kcal/kg

순발열량 10,100 kcal/kg (42.3MJ/ℓ)

1) 개정내용

원유에 대해서는 본질적으로 성분?성상이 다르기 때문에 그 총/순발열량은 “원유 및 석유제품-발열량 시험방법 및 계산에 의한 추정방법”(KS M-2057)에 의하여 API 비중 및 황 함량 등으로 산정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해당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되는 원유의 유종은 90년대에 50여 유종에서 2004년에 100여 유종에 달하며, 이중 최근 5년간 원유 성상이 파악되는 원유는 매년도 총 수입량의 99% 이상을 점하고 있다. 각 원유의 비중 및 황 함량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1990-2004년 기간 동안 도입된 원유의 발열량을 추정하였다.

[ 연도별 수입원유 발열량 추정치 ] 연도 원유수입 분석대상 원유 조사 비율 API 비중 총발열량 순발열량 천bbl 유종 천bbl 유종 kcal/kg kcal/ℓ kcal/kg kcal/ℓ 1990 308,368 53 283,772 38 92.0% 34.5 0.8522 10,751 9,161 10,094 8,602 1991 387,156 51 371,266 38 95.9% 34.4 0.8530 10,747 9,167 10,091 8,608 1992 508,986 62 481,221 44 94.5% 33.7 0.8563 10,729 9,187 10,075 8,628 1993 560,563 60 533,682 44 95.2% 33.3 0.8584 10,717 9,199 10,065 8,641 1994 573,714 64 551,941 46 96.2% 33.4 0.8583 10,723 9,203 10,070 8,644 1995 624,945 66 602,653 54 96.4% 34.5 0.8523 10,751 9,163 10,094 8,604 1996 721,927 76 703,779 66 97.5% 34.5 0.8524 10,751 9,164 10,093 8,605 1997 873,415 86 852,956 76 97.7% 34.6 0.8519 10,760 9,166 10,102 8,606 1998 819,094 93 814,773 85 99.5% 34.6 0.8521 10,757 9,166 10,100 8,607 1999 874,090 96 866,975 88 99.2% 34.8 0.8510 10,763 9,159 10,105 8,600 2000 893,943 92 890,229 85 99.6% 34.9 0.8501 10,756 9,144 10,098 8,586 2001 859,367 88 858,115 86 99.9% 34.4 0.8529 10,750 9,169 10,093 8,610 2002 790,992 108 788,008 102 99.6% 34.8 0.8509 10,757 9,153 10,099 8,594 2003 804,812 99 803,570 97 99.8% 34.3 0.8536 10,735 9,163 10,079 8,604 2004 825,790 100 825,790 100 100.0% 34.1 0.8543 10,731 9,167 10,076 8,609 최근 3년 가중평균 34.4 0.8529 10,741 9,161 10,085 8,603 최근 5년 가중평균 34.5 0.8523 10,746 9,159 10,089 8,600 15년 전체 산술평균 34.3 0.8533 10,745 9,169 10,089 8,610

□ 석유제품

1-1 평균발열량 산정방법

각 석유제품의 발열량은 공급회사별,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산술평균에 의해 평균 발열량을 산정하는 대신, 국내 시장점유율을 감안하여 가중평균하여 산정하였다. 발열량 측정결과, 시료의 물리적 특성 (황함량, 밀도)을 넘어서는 일부는 발열량 산정 시 제외하였다.

1-2 휘발유

총발열량 8,000 kcal/ℓ (33.5MJ/ℓ) ← 8,300kcal/ℓ

순발열량 7,400 kcal/ℓ (31.0MJ/ℓ)

‘04년 휘발유 생산은 58,150천배럴이며 보통휘발유가 99.7%, 고급휘발유가 0.3%를 차지한다. 여기서는 보통 휘발유의 가중 평균발열량을 산정하였다. 휘발유는 수백개 단일화합물의 혼합물로 그 단일화합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발열량 등의 차이가 나타난다. 휘발유 구성성분은 개별공정에서 생산되는 반제품 등을 토대로 Reformate, Raffinate, 나프타 , MTBE 및 RFCC Mogas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휘발유가 생산된다. 휘발유는 생산시설, 원유도입선 및 수급구조 등에 의해 다양한 배합기술이 적용되어 생산되며, 다양한 배합기술 보유 여부는 개별 정유사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휘발유 품질규격이 외국에 비해 매우 엄격하여 발열량에 있어 외국에 비해 4~7%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휘발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 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7,456 8,444 8,010 6,907 7,898 7,462 2005년 환절기(봄,가을) 7,769 7,960 7,895 7,225 7,392 7,341 2005년 하절기(여름) 7,706 7,963 7,942 7,166 7,418 7,396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7,456 8,444 7,949 6,907 7,898 7,400

1-3 실내등유

총발열량 8,800 kcal/ℓ (36.8MJ/ℓ) ← 8,700kcal/ℓ

순발열량 8,200 kcal/ℓ (34.3MJ/ℓ)

‘04년 등유생산 43,089천배럴 중에서 실내등유는 84.0%를 차지하며 총발열량은 8,806 ㎉/ℓ, 순발열량은 8,218 ㎉/ℓ이다. 3차례에 걸친 시료측정결과를 보면 평균 발열량 대비 개별 시료의 차이는 약 ±2%로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실내등유는 등유유분에서 생산되며 다양한 배합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이 아니므로 개별 시료간의 발열량 차이가 크지 않다.

[ 실내등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 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8,776 8,964 8,881 8,192 8,393 8,305 2005년 환절기(봄,가을) 8,698 8,792 8,747 8,107 8,199 8,157 2005년 하절기(여름) 8,703 8,851 8,790 8,114 8,249 8,192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8,703 8,964 8,806 8,107 8,393 8,218

1-4 보일러등유

총발열량 8,950 kcal/ℓ (37.5MJ/ℓ) ← 8,700kcal/ℓ

순발열량 8,350 kcal/ℓ (35.0MJ/ℓ)

‘04년 등유생산 43,089천배럴 중에서 보일러등유는 16.0%를 차지하며

총발열량은 8,947 ㎉/ℓ, 순발열량은 8,354 ㎉ /ℓ이다. 3차례에 걸친 시료측정결과를 보면 평균 발열량 대비 개별 시료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보일러등유가 등유와 경유의 혼합물로서 다양한 배합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이 아니므로 개별 시료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

[ 보일러등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 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8,905 8,953 8,927 8,314 8,372 8,339 2005년 환절기(봄,가을) 8,907 9,036 8,976 8,312 8,448 8,386 2005년 하절기(여름) 8,938 8,964 8,947 8,261 8,383 8,338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8,905 9,036 8,947 8,312 8,448 8,354

1-5 경유

총발열량 9,050 kcal/ℓ (37.9MJ/ℓ) ← 9,200kcal/ℓ

순발열량 8,450 kcal/ℓ (35.4MJ/ℓ)

경유는 황 함유량에 따라 초저유황 경유(유황함량 30ppm), 저유황 경유(430ppm), 고유황 경유(선박용)로 구분된다. ‘04년 경유생산 143,799천배럴 중 초저유황 경유가 대부분(93.1%)을 차지한다.

동일기간에 채취된 시료에서 발생되는 오차는 회사별 공정시설(중질유 분해시설 보유 여부), 원유도입선 및 수급에 있어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그리고 시료채취 시기별 발열량 차이는 자동차용 경유의 품질규격이 계절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항목(유동점, 동점도, 필터막힘점)으로 인해 구성성분 및 비율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초저유황 경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159 9,263 9,213 8,553 8,671 8,618 2005년 환절기(봄,가을) 8,733 8,922 8,859 8,177 8,384 8,312 2005년 하절기(여름) 8,980 9,138 9,032 8,423 8,384 8,472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8,733 9,263 9,035 8,177 8,671 8,467

1-6 중유 (B-A유, B-B유, B-C유)

B-A유

총발열량 9,300 kcal/ℓ (38.9MJ/ℓ) ← 9,400kcal/ℓ

순발열량 8,750 kcal/ℓ (36.6MJ/ℓ)

B-B유

총발열량 9,650 kcal/ℓ (40.4MJ/ℓ) ← 9,700kcal/ℓ

순발열량 9,100 kcal/ℓ (38.1MJ/ℓ)

B-C유

총발열량 9,900 kcal/ℓ (41.4MJ/ℓ) ← 9,900kcal/ℓ

순발열량 9,350 kcal/ℓ (39.1MJ/ℓ)

중유는 황 함유량에 따라 0.3% B-C유, 0.5% B-C유, 1.0% B-C유, 2.5% B-C유, 4.0% B-C유로 나뉘며 ‘04년 생산기준으로 30.3%, 14.3%, 13.2%, 12.6%, 29.6%을 차지한다. B-A유, B-B유는 별도로 생산되지 않고 경유와 B-C유를 혼합하여 판매하므로 이 제품들의 발열량은 경유와 B-C유의 혼합비율에 의해 산정하였다. 즉, B-A유는 정유회사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경유와 B-C유의 혼합비율이 7 : 3 임을 감안하여 평균 발열량 산정하였으며, B-B유는 대체적으로 경유와 B-C유의 혼합비율이 3 : 7 임을 감안하여 평균 발열량 산정하였다.

[ 유황함량 0.3% B-C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816 9,962 9,915 9,215 9,350 9,304 2005년 환절기(봄,가을) 9,727 9,942 9,882 9,108 9,327 9,261 2005년 하절기(여름) 9,744 9,942 9,893 9,128 9,316 9,267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9,727 9,962 9,897 9,108 9,350 9,277

[ 유황함량 0.5% B-C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766 10,050 9,880 9,169 9,436 9,275 2005년 환절기(봄,가을) 9,684 9,937 9,832 9,087 9,326 9,226 2005년 하절기(여름) 9,625 9,963 9,791 9,034 9,350 9,185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9,625 10,050 9,839 9,034 9,436 9,232

[ 유황함량 4.0% B-C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697 10,071 9,965 9,109 9,491 9,381 2005년 환절기(봄,가을) 9,901 10,016 9,936 9,303 9,453 9,351 2005년 하절기(여름) 9,868 9,915 9,891 9,285 9,329 9,308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9,697 10,071 9,930 9,109 9,491 9,347

1-7 프로판, 부탄

프로판

총발열량 12,050 kcal/kg (50.4MJ/kg) ← 12,000kcal/kg

순발열량 11,050 kcal/kg (46.3MJ/kg)

부탄

총발열량 11,850 kcal/kg (49.6MJ/kg) ← 11,800kcal/kg

순발열량 10,900 kcal/kg (45.7MJ/kg)

프로판, 부탄 발열량은 순수 물질의 발열량을 적용하였다. 프로판(C 3 H 8 ) 및 노말부탄(C 4 H 10 )은 한국산업규격 KS M ISO 6976: 2002(천연가스-가스조성을 이용한 열량값(발열량), 밀도, 상대밀도 및 웨버지수 계산)에 있는 열량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순수 프로판의 총발열량은 50.44 MJ(12,047 kcal)/kg, 순 발열량은 46.35 MJ(11,070 kcal)/kg이며, 노말부탄의 총발열량은 49.62 MJ(11,851 kcal)/kg, 순발열량은 45.74 MJ(10,925 kcal)/kg이다.

한편 프로판과 부탄의 부피당 총발열량은 각각 99.42 kcal/N㎥, 128.66 kcal/N㎥, 순발열량은 각각 91.18 kcal/N㎥, 118.61 kcal/N㎥이다.

1-8 나프타

총발열량 8,050 kcal/ℓ (33.7MJ/ℓ) ← 8,000kcal/ℓ

순발열량 7,450 kcal/ℓ (31.2MJ/ℓ)

나프타의 발열량은 휘발유, 용제 및 나프타의 경우 동일 유분(나프타유분)에서 생산되는 관계로 세 유종간의 수급구조, 석유화학제품 시장의 시황 및 구매자(석유화학사 등)가 요구하는 품질이 시장상황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개별 시료간 발열량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 나프타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8,133 8,677 8,445 7,557 8,106 7,863 2005년 환절기(봄,가을) 7,631 8,086 7,836 7,054 7,510 7,258 2005년 하절기(여름) 7,645 8,023 7,810 7,068 7,442 7,232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7,631 8,677 8,030 7,054 8,106 7,451

1-9 용제

총발열량 7,950 kcal/ℓ (33.3MJ/ℓ)

순발열량 7,350 kcal/ℓ (30.8MJ/ℓ)

용제의 발열량은 국내 생산 용제 중 57%차지하는 일반용제 1호 및 일반용제 2호의 구성비율(81.6%, 18.4%)를 각각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 일반용제(1호)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8,065 8,472 8,190 7,482 7,864 7,619 2005년 환절기(봄,가을) 7,697 7,937 7,771 7,114 7,377 7,193 2005년 하절기(여름) 7,275 7,915 7,461 6,690 7,340 6,842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7,275 8,432 7,855 6,690 7,864 7,276

1-10 항공유

총발열량 8,750 kcal/ℓ (36.6MJ/ℓ) ← 8,700kcal/ℓ

순발열량 8,200 kcal/ℓ (34.3MJ/ℓ)

항공유에 대한 품질규격은 국제적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개별 시료간 발열량 차이는 거의 없다. 국내에서는 군용으로 JP-8, 민간용으로 Jet A-1이 사용되고 있다. JP-8은 Jet A-1과 매우 유사한 열량값을 가지므로 Jet A-1의 발열량으로 항공유 발열량을 산정하였다.

[ Jet A-1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8,705 8,848 8,745 8,128 8,263 8,156 2005년 환절기(봄,가을) 8,764 8,803 8,777 8,184 8,263 8,220 2005년 하절기(여름) 8,690 8,822 8,724 8,124 8,252 8,168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8,690 8,848 8,749 8,124 8,263 8,181

1-11 아스팔트

총발열량 9,900 kcal/kg (41.4MJ/kg)

순발열량 8,350 kcal/kg (39.1MJ/kg)

아스팔트의 발열량은 국내 생산량의 91.3%차지하는 AP5의 평균발열량으로 산정하였다.

[ 아스팔트(AP5)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kg)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964 10,079 10,010 9,439 9,553 9,484 2005년 환절기(봄,가을) 9,744 9,880 9,790 9,152 9,297 9,220 2005년 하절기(여름) 9,837 9,959 9,892 9,278 9,403 9,335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9,744 10,079 9,897 9,152 9,553 9,346

1-12 석유코크스

총발열량 8,100 kcal/kg (33.9MJ/kg)

순발열량 7,850 kcal/kg (32.9MJ/kg)

[ 석유코크스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kg)

구분 총발열량(평균) 순발열량(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7,850 7,610 2005년 환절기(봄,가을) 7,912 7,664 2005년 하절기(여름) 8,490 8,204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8,084 7,826

1-13 윤활기유

총발열량 9,250 kcal/ℓ (38.7MJ/ℓ)

순발열량 8,650 kcal/ℓ (36.2MJ/ℓ)

[ 윤활기유 열량 측정결과 비교 ]

(단위 : ㎉/ℓ)

구분 총발열량 순발열량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2005년 동절기(겨울) 9,276 9,286 9,282 8,655 8,666 8,660 2005년 환절기(봄,가을) 9,264 9,275 9,267 8,635 8,638 8,636 2005년 하절기(여름) 9,070 9,288 9,217 8,442 8,658 8,587 2005년 시료 측정 종합결과 9,070 9,288 9,256 8,442 8,666 8,629

2. 석탄

2-1 평균발열량 산정방법

석탄은 다른 연료와 달리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발열량 측정시료의 수분기준에 따라 인수식(As Received Basis), 기건식(Air-dry Basis), 건식(Dry Basis) 발열량으로 구분되고 그 값의 차이도 매우 크다.

고시열량 기준은 거래의 기준이 되는 인수식(As Received Basis)발열 량을 사용하고 석유의 제품과 같이 물량가중평균으로 평균발열량을 산정하였다.

2-2 무연탄

국내무연탄

총발열량 4,650 kcal/kg (19.5MJ/kg) ← 4,500kcal/kg

순발열량 4,600 kcal/kg (19.3MJ/kg)

수입무연탄

총발열량 6,550 kcal/kg (27.4MJ/kg)

순발열량 6,400 kcal/kg (26.8MJ/kg)

무연탄은 수입무연탄과 국내무연탄으로 구분하여 발열량을 산정하였다. 국내 무연탄은 발전소의 연료, 산업용, 연탄용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발전소에서만 순발열량 산정에 필요한 수소(H)의 함유량 정보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발전소의 무연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입 무연탄은 거의 대부분이 포스코에서 제철용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포스코에서 분석한 자료를 확보하여 산정하였다.

[국내 무연탄의 인수식?기건식?건식 총발열량]

(단위 : kcal/kg)

구 분 인수식 총발열량 기건식 총발열량 건식 총발열량 ‘02년~’04년 평균 4,651 4,869 5,096

[수입 무연탄의 인수식?기건식?건식 총발열량]

(단위 : kcal/kg)

구 분 인수식 총발열량 기건식 총발열량 건식 총발열량 ‘02년~’04년 평균 6,551 6,785 7,007

2-2 유연탄

연료용 유연탄

총발열량 6,200 kcal/kg (26.0MJ/kg) ← 6,600 kcal/kg

순발열량 5,950 kcal/kg (24.9MJ/kg)

원료용 유연탄

총발열량 7,000 kcal/kg (29.3MJ/kg)

순발열량 6,750 kcal/kg (28.3MJ/kg)

유연탄의 발열량은 연료탄과 원료탄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연료탄은 발전용, 산업용등으로 사용되는데,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여러가지 분석에 필요한 석탄의 분석 자료를 발전소에서 잘 확보하고 있으므로, 발전소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유연탄의 발열량을 산정하였다.

원료탄은 거의 대부분이 포스코에서 제철용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포스코의 분석 자료를 확보하여 발열량을 산정하였다.

[연료용 유연탄의 인수식?기건식?건식 총발열량]

(단위 : kcal/kg)

구 분 인수식 총발열량 기건식 총발열량 건식 총발열량 ‘02년~’04년 평균 6,225 6,768 7,049

[원료용 유연탄의 인수식?기건식?건식 총발열량]

(단위 : kcal/kg)

구 분 Coking Coal PCI Coal Finex Coal 원료탄 평균 인수식 기건식 건식 인수식 기건식 건식 인수식 기건식 건식 인수식 기건식 건식 ‘02년~’04년 평균 7,047 7,532 7,670 7,120 7,722 7,835 (6,773) (7,104) (7,323) (7,013) (7,497) (7,642) 주 : 1) ( ) : 산술평균 (Finex Coal 입하량 자료 미확보)

2-3 아역청탄

총발열량 5,350 kcal/kg (22.4MJ/kg)

순발열량 5,000 kcal/kg (20.9MJ/kg)

최근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연료 공급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역청탄을 수입하는 예가 늘고 있다.

그런데, 유연탄과 아역청탄을 구분하는 기준이 국제기구와 사업장에 따라서 다른 것이 현실이다. 아역청탄의 가장 큰 특성은 비점결성이며, 휘발분이 많고 발열량이 낮다는 것이다. 개정발열량은 ASTM 기준 즉, 무광물질 기건식 총발열량 19.3~26.74MJ/kg(4,610~6,388kcal/kg)을 기준으로 유연탄과 아역청탄을 구분하였다.

[아역청탄의 인수식?기건식?건식 총발열량]

(단위 : kcal/kg)

구 분 인수식 총발열량 기건식 총발열량 건식 총발열량 ‘02년~’04년 평균 5,359 5,992 6,791

2-4 코크스

총발열량 7,050 kcal/kg (29.5MJ/kg) ← 6,500 kcal/kg

순발열량 5,000 kcal/kg (20.9MJ/kg)

코크스는 주로 주물 및 주철제조용으로 사용되며, 대부분을 철강업종에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포스코의 자료를 이용하여 코크스의 발열량을 산정하였다.

코크스는 유연탄을 건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수분 및 휘발분이 거의 날아간 상태로서, 기건식, 건식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

[ 코크스 총발열량 ]

(단위 : kcal/kg)

구 분 최대 최소 평균 ‘03년~’04년 자료 7,148 6,849 7,034

주 : 물량가중평균, 건식 총발열량

3. 전력

총발열량(순발열량) 2,150 kcal/kWh(9.0MJ/kWh) ← 2,500 kcal/kWh

전력 발열량은 전기 1.0kWh가 발생하는 에너지량을 860kcal로 설정, 해당 에너지량을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석연료의 에너지투입량을 총계하고 화력발전 평균 효율로부터 1차에너지를 역산하여 발전초기 투입열량을 산정하였다. 비화석에너지 전력전환 효율은 최근 3년간 화력발전소 평균효율로 하였으며, 화력발전소는 한전 5개 자회사 및 3개 화력발전전문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화력발전 효율은 한국전력통계의 화력발전소 평균효율(발전단)을 적용하였다.

[ 연도별 1차전력 투입열량 ]

연 도 발전단 효율 발전투입열량 (kcal/kWh) 소내소비& 송배전손실 소비투입열량 (kcal/kWh) 1980 35.63% 2,413 11.83% 2,699 1985 36.98% 2,326 11.39% 2,590 1990 36.99% 2,325 10.26% 2,563 1995 38.14% 2,255 9.68% 2,473 2000 39.45% 2,180 9.25% 2,382 2001 39.57% 2,173 8.94% 2,368 2002 39.96% 2,152 8.85% 2,343 2003 39.94% 2,153 8.74% 2,341 2004 40.66% 2,115 8.81% 2,301 최근3년 가중평균 40.20% 2,139 8.80% 2,328

4. 가스

4-1 평균발열량 산정방법

1) 발열량 측정기준

액체연료의 발열량 측정기준은 상온(15℃) 상압(1기압)을 기준으로 하나, 기체 상태인 가스는 0℃?1기압의 노말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가스 발열량의 측정단위는 kcal/Nm3 또는 kJ/Nm3를 사용한다. 현재 천연가스의 발열량은 한국가스공사가 도입 항차별로 천연가스의 총발열량과 순발열량을 측정?산출하고 있다. 한편 도시가스(LNG)는 액화천연가스를 단순히 기화한 것이므로 천연가스와 동일한 발열량을 갖고 있으며, 천연가스와 도시가스(LNG)는 최근의 총발열량과 순발열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2) 발열량 대푯값 산정방법

천연가스 및 도시가스(LNG)의 총발열량 및 순발열량은 측면자료인 천연가스의 최근 3년간의 연도별 발열량에 연도별 수입물량을 가중치로 곱하여 얻어지는 물량 가중평균으로 발열량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4-2 천연가스(LNG)

총발열량 13,000 kcal/kg (54.5MJ/kg) ← 13,000 kcal/kg

순발열량 11,750 kcal/kg (49.2MJ/kg)

천연가스는 주성분이 메탄가스이며 천연가스의 발열량은 도입국 및 도입연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2004년의 경우 호주산 액화천연가스의 총발열량은 10,730 kcal/Nm3 이상으로 가장 높은 편이며, 인도네시아와 카타르에서 수입하는 액화천연가스의 발열량은 10,490 kcal/Nm3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가스의 발열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주 도입국인 오만산 LNG의 발열량이 최근에 상당히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 연도별 LNG 발열량 ]

연도 항차수 총도입량 (ton) 총도입부피 (천Nm3) 부피기준 발열량 (kcal/Nm3) 질량기준 발열량 (kcal/kg) 환산계수 (ℓ/kg) 고위 저위 고위 저위 2001 270 15,877,821 19,472,328 10,610 9,589 13,012 11,759 1,226 2002 298 17,532,788 21,520,634 10,598 9,577 13,008 11,756 1,227 2003 326 19,120,900 23,522,845 10,575 9,556 13,009 11,756 1,230 2004 371 22,153,300 27,318,900 10,550 9,530 13,010 11,760 1.233

4-3 도시가스(LNG), 도시가스(LPG)

도시가스(LNG)

총발열량 10,550 kcal/N㎥ (44.2MJ/N㎥) ← 10,500 kcal/N㎥

순발열량 9,550 kcal/N㎥ (40.0MJ/N㎥)

도시가스(LPG)

총발열량 15,000 kcal/N㎥ (62.8MJ/N㎥) ← 15,000 kcal/N㎥

순발열량 13,800 kcal/N㎥ (57.8MJ/N㎥)

우리나라에서 공급되는 도시가스는 천연가스 또는 LPG/Air 혼합가스이나, 천연가스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도시가스는 천연가스의 부피당 열량 10,550 kcal/Nm3 을 그대로 적용하고, LPG 도시가스는 해당 도시가스사의 공급규정에 따라 15,000 kcal/Nm3 에 맞추어 열량을 조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이 열량을 적용하기로 한다. 일부 산업용으로 LPG를 기화하여 직접 공급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므로 발열량 고시에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Ⅳ. 폐지?통합된 에너지원

1. 제트 A-1, JP-4

제트 A-1 8,700 kcal/ℓ

JP-4 8,500 kcal/ℓ

제트연료에 대해서는 사고방지 등의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엄격한 품질기준이 정해져 있다. JP-4는 더 이상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으므로 개정고시열량에는 이를 제외하였다. 현재 JP-8를 군용으로 사용하고, 제트 A-1의 경우 민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JP-8은 제트 A-1과 매우 유사한 열량값을 가지므로 JP-8과 제트 A-1를 통합하여 항공유로 개정하였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연료 발열량 표

다음은 Bing에서 연료 발열량 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에너지산업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보일러산업기사
  • 보일러산업기사실기
  • 보일러산업기사기출문제
  • 보일러산업기사실기기출문제
  • 에너지관리기출문제
  • 에너지관리실기
  • 에너지관리실기기출문제
  • 에너지실기
  • 에너지기출문제
  • 에너지실기기출문제
  • 에니저기능사
  • 에너지기능사실기
  • 에너지기능사실기필답형
  • 에너지기능사필답형
  • 에너지관리기능사실기작업형
  • 에너지관리적산
  • 에너지관리산업기사적산
  • 에너지관리기능사
  • 에너지기능사
  • 에너지관리기능사실기
  • 에너지관리기능장
  • 에너지관리기능장필기
  • 에너지관리기능장실기
  • 에너지관리기능사필기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YouTube에서 연료 발열량 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연료 발열량 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꼬리 곰탕 만드는 법 | 꼬리곰탕 끓이는방법 (Ft.왕초보도 쉽게) 174 개의 자세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