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연구 예시 |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9931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양적 연구 예시 –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azzett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azzett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S Lee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154회 및 좋아요 2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성별과 음주량을 각각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수치화해서 분석하는 것은 양적 연구의 단적인 예이다.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에 대한 쉬운 정리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ocir.tistory.com

Date Published: 4/5/2022

View: 2985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 UU – 티스토리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unaxxzz.tistory.com

Date Published: 8/21/2021

View: 4724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

6. 양적 연구의 사례 … 양적 연구 방법은 자료를 계량화하여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여기를 클릭

Source: gif90.tistory.com

Date Published: 11/25/2021

View: 2938

Top 22 양적 연구 주제 예시 Top 108 Best Answers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Article author: yunaxxzz.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9162 ⭐ Ratings; Top rated: 3.6 ⭐; Lowest rated: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toplist.giarevietnam.vn

Date Published: 3/22/2021

View: 355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양적 연구 예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양적 연구 예시

  • Author: S Lee
  • Views: 조회수 2,154회
  • Likes: 좋아요 23개
  • Date Published: 2020. 9.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lGG6ZqtMn8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연구의 유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두가지 방법을 혼용한 다중방법론 연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양적 연구 (Quantitative Research)

수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포함하는 연구문제나 가설에 대해 답하거나 검증하는 탐구방법을 말한다. 실험, 상관관계, 설문조사 등의 연구 기법이 양적 연구에 해당한다.

양적 연구는 숫자로 계량화(計量化)될 수 있는 자료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연구이다. 경험적 연구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크게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와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로 구분되는데, 양적 연구는 다루어지는 자료가 양적인 경우(예, 서베이연구 및 실험연구의 통계자료)이며 질적 연구는 자료가 질적인 경우(예, 역사연구를 위한 서술적 기록물)이다. 이를테면,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성별과 음주량을 각각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수치화해서 분석하는 것은 양적 연구의 단적인 예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서로 대조되는 장단점을 보유하여서, 양적 연구의 장점(계량적 통계분석을 통한 연구결과의 객관성 확보)과 질적 연구의 단점(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심하게 의지함으로 인한 연구결과의 객관성 결여)이 엇비슷할 뿐더러 양적 연구의 단점(피상적인 연구결과의 제시)과 질적 연구의 장점(심도 있는 연구결과의 제시) 또한 엇비슷한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과학에서는 질적 연구보다 양적 연구가 훨씬 더 많은데, 이는 양적 연구가 반드시 더 바람직해서이기보다는 양적 연구의 단점보다 장점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1

양적 연구는 추상적인 개념을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경험적, 통계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설을 검증하거나 법칙을 발견하는데 유리하며 객관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데 유리하다.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는 주로 탐구적인 연구로서 연구자의 직관적인 통찰로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이다. 주로 어떤 현상에 대해 근본적인 이유, 의견 및 동기를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잠재적으로 양적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나 가설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질적 연구는 주관적 · 해석적 인식론에 근거를 두고, 되도록이면 인위적으로 조작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삶의 세계에서 연구대상 스스로의 말이나 글, 행동, 그들이 남긴 흔적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해석하고 의미를 찾으려는 연구방법을 말한다. 2

질적 연구는 인간이 생활하고, 경험하고, 상호작용하는 등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질적 접근을 하는 연구자들은 개인이나 단일한 환경, 한 집단의 문화적 모형과 관점, 한 집단구성원들의 일상적인 활동과 사회적 구조 사이의 관계, 상호작용을 통하여 습득하는 관점과 의미,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상 등에 관심을 둔다. 양적 접근은 경험적 · 실증적 탐구의 전통을 따르는 입장으로서 사회현상을 어떤 형태로든 수량화하고 이렇게 수량화된 자료를 가지고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기술하고 분석하는 연구전략인 반면에, 질적 접근은 현상학적·해석학적 탐구의 전통을 따르는 입장으로서 연구와 관련된 당사자들의 상호 주관적인 이행에 바탕을 두고 사회현상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는 연구전략이다.

질적 연구에는 ①문화기술지(ethnography), ②해석학적 연구(hermeneutic research), ③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④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 ⑤근거이론(ground theory), ⑥사례연구(case study), ⑦생애사(life history), ⑧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 등이 있다(Patton, 2002; Creswell, 2009).

①문화기술지는 문화인류학에서 발전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집단의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각 집단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고유한 문화(생활양식, 사고방식, 행동규범 등)를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는 연구방법이다.

②해석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사람들이 문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그것이 어떤 행위로 나타나는지를 그들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여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

③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를 묘사함으로써 현상에 관련된 인간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는 연구방법이다.

④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상징에 대한 해석의 결과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사회학에서 발전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람들이 언어나 몸짓으로 의미를 교환하고, 그 속에서 서로의 생각과 기대와 행동을 조정해 가는 사회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⑤근거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파생된 질적 연구방법으로 인간이 실제로 행동하는 모습을 근거로 하여 인간행동을 실질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찾아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⑥사례연구는 연구자가 어떤 프로그램, 사건, 행동, 과정, 한 명 이상의 개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이다.

⑦생애사는 한 개인, 한 집단, 한 조직체의 경험과 그 경험 속에 녹아 있는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⑧내러티브 연구는 연구자 한 개인의 삶을 연구하고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개인에게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제시해 달라고 요구하는 연구방법이다.

양적 연구와 구별되는 질적 연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이종승, 2009).

첫째, 질적 연구에서는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인위적으로 상황을 통제하거나 조작하지 않고 실제 세계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연구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의 독특성, 다면성, 역동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자료수집의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관찰이나 면담을 통한 자료수집뿐만 아니라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는 모두 수집한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는 상황이나 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현상을 요소나 부분으로 분석하지 않고 총체성을 강조하는 관점에서는 전체란 부분들의 단순한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이며 부분들은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만 의미를 갖게 된다고 가정한다.

넷째, 질적 연구에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물론 결과도 소홀하게 취급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질적 연구의 주된 관심사다.

다섯째, 질적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일반화에 도달하는 귀납적 방법을 선호한다. 따라서 자료를 많이 수집하여 종합할수록 귀납적 일반화의 타당성은 높아진다.

여섯째,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의미를 추출하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현장 속에 들어가 연구대상자들과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을 하면서 그들의 외현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가치관, 관점, 태도 등 내면적인 특성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일곱째,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를 수행하는 데 융통성과 유연성이 있다. 사전에 완벽한 연구설계를 작성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점차 구체화시켜 나간다. 연구설계의 융통성은 질적 연구의 개방성, 모호성, 불확실성에 대한 관대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질적 연구는 참여관찰이나 심층면접을 통하여 인간행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할 수 있고, 사실적이면서 자연스러운 인간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연구를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료의 기술과 해석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연구대상이 극소수이거나 특수 집단일 경우가 많아서 표본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질적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연구자 자신이다. 연구자는 연구를 수행하는 주체인 동시에 핵심적인 연구도구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연구역량 여하가 질적 연구의 질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질적 연구의 자료는 관찰, 면담, 문서, 사진, 기록물, 그림, 비공식적 대화 등이 있는데, 대개 한 가지 이상의 자료수집 방법을 이용하며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이 관찰과 면접이다. 관찰의 방법에는 관찰자와 피관찰자의 상호작용 정도의 형태나 수준에 따라 참여 관찰, 비참여 관찰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한 연구에서 참여 관찰과 비참여 관찰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처음에는 비참여 관찰을 하다가 후반기에 참여 관찰을 할 수도 있다.

참여 관찰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구성원들의 생활에 참여하여 그들의 행동, 언어, 습관, 상징뿐 아니라 참여자로서 경험한 것이나 느낀 것, 구성원들과의 그때그때 있었던 대화 내용까지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찰을 하면서 혹은 관찰한 후에 관찰 내용을 현장노트(field notes)에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해 두는데, 관찰하면서 보고 듣고 경험하고 생각한 것을 모두 기술하되 가능한 한 관찰 즉시 기록하는 것이 좋다. 시간이 흐른 후에 현장노트를 작성하면 사실과 다르게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장노트는 주변환경, 사람, 행동, 대화 내용 등에 관한 기술적인 측면과 연구자의 생각이나 아이디어에 관한 반성적인 측면으로 구성된다.

관찰을 통하여 얻을 수 없는 연구대상자의 가치관이나 과거의 경험과 같은 중요한 정보는 면접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질적 연구에서 면접을 통한 자료수집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면접 내용을 기록할 때는 제보자(informant)의 말을 그대로 적는 것이 좋은데, 제보자의 말을 바꾸어 적으면 그 뜻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시간 면접을 하는 경우에는 제보자의 동의하에 면접내용을 녹음하는 것이 좋다. 녹음을 한 다음에는 녹음된 내용을 서면으로 정리한다. 수집된 질적 자료의 분석은 읽기와 메모하기에서 시작하여 기술하기, 분류하기, 해석하기의 단계를 거친다. 자료 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현장노트, 메모, 관찰자의 평 등을 읽는 것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의 결론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자료를 여러 번 읽어야 하며, 처음 읽을 때는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가장자리에 자신의 생각이나 의미를 기록해 두고 핵심 사항을 메모한다. 기술은 연구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안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장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말하는데, 발생한 사건과 상황, 과정,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해야 한다. 기술을 통하여 연구자는 장면, 사건, 연구대상자의 여러 가지 측면과 관련된 자료를 분류하고 묶을 수 있으며, 보다 핵심적인 자료의 특성을 명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질적 자료를 기술한 다음에는 분류작업이 뒤따른다. 질적 자료를 정리하는 전형적인 방식은 자료를 이해하기 쉽게 범주화해서 분류하는 것이다. 끝으로 해석은 자료에 담긴 의미가 무엇인지, 즉 수집된 자료에서 중요한 주제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3

양적 연구는 관심 있는 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양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해서 인과관계를 설명하거나 일반적인 규칙을 밝히는 연구이다.

반면 질적 연구는 관심 있는 사회현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미(동기, 신념, 가치, 상황정의 및 해석)를 그들의 시각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되 주로 비수량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연구이다.

양적 연구는 무엇보다 연구과정에 연구자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중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크게 강조된다. 연구방법에서 연구자의 독자적인 판단이나 성향이 개입되지 않도록 엄격하게 연구절차가 정해진 실험, 검사, 측정도구, 설문지 등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의 주관이 연구과정에 개입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연구자 스스로가 주요 연구도구가 된다.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연구과정에 작용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연구자 마음대로 아무렇게나 연구를 수행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 성장경험, 성, 나이, 인종, 계층 등이 연구문제 설정, 자료수집, 분석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며, 연구자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냉철하게 인식하면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질적 연구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과정에 미치는 개인의 영향을 추적하고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러한 능력이 바로 연구대상이 되는 다른 인간들의 행동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동일한 능력이라고 질적 연구는 가정한다. 인간행위의 외적 행동만큼 내적 상태에 관심을 두는 질적 연구는, 내적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행위자의 가정과 암묵적 동기 또는 상황 정의를 이해하고자 하며, 이는 연구대상과의 공유된 지식이나 경험 또는 정서와 신뢰를 기초로 질문하고 관찰하고 그 과정을 성찰해 나가면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통제되지 않은 실제 사회에서 직면하게 되 는 여러 가지 예기치 않은 상황들에 대하여 유연하게 적응해 나가면서 연구를 수행해 나갈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도구를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에 질적 연구에서 주요 연구 도구는 연구자 스스로가 된다.4

다중 방법론 연구. 혼합 방식 연구(Multimethodology)

Multimethodology 또는 Multimethod Research 연구라고 불리는 다중방법론 연구는 최근 각광을 받는 연구 방법으로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두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융합하여 연구하는 방식이다. 다중 방법론 연구는 조사 연구에서 데이터 수집과 같은 양적 연구와 하나 이상의 방법을 포함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을 혼합하는 연구의 집합을 말하는데 질적 및 양적 데이터, 방법, 방법론 또는 패러다임의 혼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한가지 방법만 수행하는 것 보다 구체적이고 더 심도있는 연구를 할 수 있다고 평가 받는다. 대신 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양적 연구 결과와 연구자의 통찰이 적절하고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결론을 이끌어 내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정교한 연구 계획과 실행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다중 방법론’이라는 용어는 1980 년대와 1989 년의 책 “멀티 메소드 연구 : 존 브루어 (John Brewer)와 앨버트 헌터 (Albert Hunter)의 스타일의 합성”(Sage Publications)에서 시작되었다. 1990 년대와 현재, ‘혼합 방법 연구’라는 용어는 행동 과학, 사회 과학, 비즈니스 과학, 건강 과학 분야에서이 연구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다원적 연구 접근법은 1980 년대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체계적 분석 연구, 시스템적 분석방법(Systematic Analysis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체계적 분석 연구 방법은 이미 나와있는 여러 연구, 조사, 논문 또는 자료(프로그램)를 수집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 유형을 말한다.

1. 교육평가용어사전, 김상욱, 2004. 5. 31., 학지사

2. 상담학 사전, 2016. 01. 15., 학지사

3. 상동

4. Schazman & Strauss, 1973; Hamilton & Atkinson, 1983; Glesne & Peshkin, 1992; Davies, 1999)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에 대한 쉬운 정리

사회과학 조사연구에서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을 다루는 학문인 사회복지학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둘의 의미를 명확하게 알아둘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에 본 포스팅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 등을 되도록 쉬운 용어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

우리가 흔히 양과 질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여기서 양은 어떤 분량이나 수량을 의미합니다. 즉, 양이 많다는 것은 수량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양적연구란 어떤 의미일까요?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본다고 생각해봅시다.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는 이것을 숫자로 바꿔 연구를 할 것입니다. 일단 연구자는 청년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웁니다. 그런 뒤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대상으로 소득을 측정하고, 다음 삶의 만족도를 1~10점까지 바꿔서 측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여러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고, 결론을 내립니다.

위의 예시가 사회과학에서 주로 쓰이는 양적연구 방법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즉, 특히 사회과학에서 양적연구는 이론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대상의 속성(변수)에 숫자를 부여하고 다양한 통계기법을 통해 그러한 가설을 증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자연과학도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합니다. 자연과학(또는 기초과학)에서는 다만 실험설계를 통해 좀 더 통제된 환경에서 양적연구를 실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좀 더 어려운 말로 표현하면 양적연구는 경험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며 대상의 속성을 계량적으로 표현하고 그들의 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밝혀내는 조사로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객관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며 가설의 수립과 검증을 통해 진리를 밝힐 수 있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양적연구는 연구하려는 대상과 속성을 숫자로 바꿔서 계측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

앞서 양적연구가 수량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라면 질적연구는 무엇일까요?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양보단 질에 집중하는 연구입니다. 질적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은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조사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의 일부만 보게 되는 편협한 결과를 생산한다고 비판합니다. 특히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은 더욱 심각한 오류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별이나 나이, 학력 등의 요소를 통제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에게는 그보다 더 많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그날따라 한 청년은 기분이 우울해있을 수도 있고, 어떤 청년은 부모와의 불화로 화가 나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 인간에게는 소득 외에도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소득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이 의미 있게 나왔다 하더라도 실제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습니다. 결과적으로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비판하고, 어떤 결론을 내리려 하지 않고, 소수의 사람들과 깊이 있는 관계를 통해 본질적인 의미만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질적연구 방법은 주로 소수의 집단을 연구하는데 자주 활용됩니다. 어떤 특수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가 심층면접을 여러 번에 걸쳐 수행합니다. 또는 직접 어떤 집단 내부에 들어가 그들의 환경과 삶을 직접 경험하면서 탐구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진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는 집단은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수일 것입니다. 이 경우 양적연구를 통해 통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양적인 연구는 모집단과 표본집단이 많을수록 정확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질적연구가 필요합니다.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비교

두 연구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잡히나요? 좀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두 연구방법을 비교하여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양적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 사회현상의 사실이나 원인을 탐구하고, 논리를 추구하는 실증주의적 입장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는 현상학적인 입장 어떤 현상은 안정적이라고 봄 어떤 현상은 통태적이기 때문에 항상 변화한다고 봄 통제된 측정을 실시함(특히 자연과학 실험설계에서 많이 활용함) 비통제적인 관찰을 함 연역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귀납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객관적이며 일반화가 가능 주관적이며 일반화시킬 수 없음 대규모의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을 시행함 소규모의 표본으로 분석을 시행함 어떠한 현상에 원리와 결과를 추구함 어떠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고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음 연구방법의 예로는 설문지 조사연구, 실험설계 연구 등이 있음 연구방법의 예로 관찰법,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나 문화기술적 연구 등이 있음

지금까지 사회과학 연구방법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징과 그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전문적인 용어를 최대한 배제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포스팅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학문적 가치(관련 논쟁을 제시, 학문적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

: 연구질문 제시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 흐름을 간략히 제시

: 선행연구의 흐름을 내가 구성해 몇 가지 지류로 분류

: 이 흐름에서 비어있는 곳을 발견, 제시해야 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수 있음

: 여기서 선행연구자를 주어로 밝히는 것은 연구의 분류를 묶어내는데 좋지 않음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목적과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제시

: 선행연구 흐름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미비한 점을 제시

: 발견한 것은 서론에서 제시하지 않음

논문의 구성

: 2장, 3장 … 에서 무엇을 할지 밝힘

2 본론: theory building

주제의 정의

: 주제를 정의해 범위를 한정(조작적 정의)

이론적 배경 제시

: 이 과정에서 서론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지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개념의 구체화

: 개념에서 개념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설계

: 선행연구에서 찾은 개념이 주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계해 제시

(예: Elisa Hernando, Sara Campo (2017), Does the Artist’s Name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an Art Work?

마케팅에서 브랜드 가치 개념을 미술품 시장에서 작가의 이름에 적용하며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 개념 제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는 구매를 유도하는지, 브랜드 가치만으로 구매를 하는지에 초점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가치의 기능과 유익을 제시: 불확정성을 줄이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음

작가의 브랜드 가치는 제품과 마찬가지로 품질과 만족에 영향

곧,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하게 제시하는 구매 후 만족이 미술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

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배경을 설계)

개념은

3 가설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가설로 제시

: 관계를 설명하는데 선행연구가 사용됨

: 개념 간의 영향 관계를 구체화

4 실증분석

데이터 제시

: 자료를 어떻게 획득했는지 ‘데이터’ 절에서 밝혀야 함.

: 1차 자료: 직접 설문조사로 획득 / 2차 자료: 기존 자료 활용(외부 기관의 조사 자료)

변수

: 종속변수(알고자하는 것)

: 독립변수(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

: 통제변수(독립변수의 영향력을 확실히 하기 위해 통제하는 것, 가설에 포함되지 않음)

: 조절변수(moderating, 독립-종속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것, 통제변수가 가설에 포함되면 조절 혹은 독립변수가 됨)

: 매개변수(mediating, 독립-종속의 관계가 있어보이는 효과를 주는 것, 매개변수를 줄이면 독립-종속의 관계가 약해짐

분석결과

: 표 1(기술통계량: 표본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 표 2(상관관계분석, 각 변수를 쌍으로 묶었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

종속-통제-독립 순서로 배치, 숫자는 기울기를 의미)

(예: 성별(2)과 예술적 관심의 상관관계는 0.25로 **매우 관계가 있음)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표 3(가설검증표, 통제변수를 고려해 독립-종속의 관계를 보여줌)

(예: M0은 독립변수 투입 이전 기본 상태, M1-3은 각각의 가설)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발견한 점

: 실증분석을 통해 발견한 독립-종속의 영향 관계를 재정리

연구의 공헌 및 시사점

: 학문적 공헌 / 실무적 공헌 / 정책적 공헌

: 저자의 의도

연구의 한계

: 연구의 한계가 발생한 사유

: 후속 연구의 가능성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분류 전체보기 (337) 그냥… (8) From (140) 좋은글 (65) <좋은시> (11) 뉴스 (0) 공모-응모 (2) 건강 (6) Sports (1) 자기개발 (5) 웃어보자 (9) 방송 (0) COM&IT (12) 상식 (24) 영상 (0) JPG (1) ETC (3) Music (1) SW (0) 장애인 (77) 장애인 뉴스 (41) 보장구 (5) SCI (7) 정책&법률 (14) 기타사항 (8) 복지 (2) 한국방송통신대학 (105) 강의4-1 (0) OUN뉴스 (7) 학사일정 (37) 문제해결 (3) 조언 (15) 교육학과 (4) 강의록 (4) 기출문제 (3) 과제물 (6) 시험준비 (4) 자료들 (7) 사회복지사 (1) 좋은 강의 (0) 강의3-2 (0) 강의3-1 (0) 강의2-2 (0) 강의2-1 (0) 강의1-2 (0) Save (1) MUSIC (5) POP (1) K-POP (3) CLASSIC (1) MV (0) etc (0) GIF (0) LINK (0) leewon (0)

Top 22 양적 연구 주제 예시 Top 108 Best Answers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태그

‘methodologyconstruction’ Related Articles

Read More

좋은 연구 질문이란 무엇인가

연구 질문의 유형

좋은 연구 질문과 나쁜 연구 질문의 예

좋은 연구 질문을 쓰기 위한 단계

고객 지원

Read More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Read More

카테고리 이동

최적 SYSTEM 사회탐구

이 블로그

사회·문화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사회·문화

카테고리 글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giarevietnam.vn/blog.

(예: Elisa Hernando, Sara Campo (2017), Does the Artist’s Name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an Art Work?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Article author: yunaxxzz.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9330 Ratings

Ratings Top rated: 4.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학문적 가치(관련 논쟁을 제시, 학문적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 : 연구질문 제시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

Table of Contents:

태그

‘methodologyconstruction’ Related Articles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Read More

연구 가설이나 연구 주제를 쓰는 법 – 에세이리뷰 블로그

Article author: essayreview.co.kr

Reviews from users: 2734 Ratings

Ratings Top rated: 4.9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연구 가설이나 연구 주제를 쓰는 법 – 에세이리뷰 블로그 양적 연구 질문(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s). 양적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연구 질문에는 연구 대상 , 종속 변수 및 독립 변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연구 가설이나 연구 주제를 쓰는 법 – 에세이리뷰 블로그 양적 연구 질문(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s). 양적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연구 질문에는 연구 대상 , 종속 변수 및 독립 변수 … 연구 질문이나 가설을 쓰는 방법을 아는 것은 모든 논문 또는 연구 논문의 시작이며 연구 제안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좋은 연구 질문은 연구의 글을 명확하게 하며, 독자가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제시하고, 연구 주제, 목적, 범위 및 한계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Table of Contents:

좋은 연구 질문이란 무엇인가

연구 질문의 유형

좋은 연구 질문과 나쁜 연구 질문의 예

좋은 연구 질문을 쓰기 위한 단계

고객 지원

연구 가설이나 연구 주제를 쓰는 법 – 에세이리뷰 블로그

Read More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32648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 네이버 블로그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내용 정리). – 2001, 조영남. 1. 들어가며. ㄱ. 교육연구. 일련의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의 주요 문제들에 대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 네이버 블로그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내용 정리). – 2001, 조영남. 1. 들어가며. ㄱ. 교육연구. 일련의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의 주요 문제들에 대한 …

Table of Contents:

blog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양적 연구 주제 예시

Article author: m.reportworld.co.kr

Reviews from users: 17195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양적 연구 주제 예시 예시를 들자면, 평균 소득이나 사교육비 지출과 같은 수치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반화된 법칙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을 양적 연구방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양적 연구 주제 예시 예시를 들자면, 평균 소득이나 사교육비 지출과 같은 수치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반화된 법칙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을 양적 연구방법 …

Table of Contents:

양적 연구 주제 예시

Read More

그냥…한 번만… ::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Article author: gif90.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23987 Ratings

Ratings Top rated: 4.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그냥…한 번만… ::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방법은 자료를 계량화하여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양적 연구 방법의 예시. 2.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그냥…한 번만… ::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방법은 자료를 계량화하여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양적 연구 방법의 예시. 2.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http://study.zum.com/book/15190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목차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Table of Contents: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그냥…한 번만… ::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Read More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이나고 아카데미

Article author: www.enago.co.kr

Reviews from users: 14494 Ratings

Ratings Top rated: 3.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이나고 아카데미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과 양적 연구 … 미디어를 통해서 전반적인 사회현상들을 연구주제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이나고 아카데미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과 양적 연구 … 미디어를 통해서 전반적인 사회현상들을 연구주제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생활이 통제된 요즘 연구를 위한 데이타 수집이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원들은 어떻게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을까요? 몇 가지 유용한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Table of Contents:

COVID-19으로 인한 학계의 상황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

사회적 격리 중에서 가능한 질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이 갖는 한계점

Enago와 함께하는 학계의 COVID-19 극복 도전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이나고 아카데미

Read More

양적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과 논문 작성법

Article author: blog.daum.net

Reviews from users: 45486 Ratings

Ratings Top rated: 3.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양적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과 논문 작성법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 관련 학계의 관심 분야나 최근의 연구 동향과 추세에 따른 (최근(그 범위는?)에 나온 연구물의 제언을 살핀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양적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과 논문 작성법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 관련 학계의 관심 분야나 최근의 연구 동향과 추세에 따른 (최근(그 범위는?)에 나온 연구물의 제언을 살핀다.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 관련 학계의 관심 분야나 최근의 연구 동향과 추세에 따른 (최근(그 범위는?)에 나온 연구물의 제언을 살핀다. 1) 장점 (1) 2) 단점 (1) 2. 자..수영. 윈드서핑. 스킨스쿠버에 관련한 팁, 용어, 규정, 운영등의 자료 공유

Table of Contents:

양적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과 논문 작성법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255+ tips for you.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학문적 가치(관련 논쟁을 제시, 학문적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 : 연구질문 제시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 흐름을 간략히 제시 : 선행연구의 흐름을 내가 구성해 몇 가지 지류로 분류 : 이 흐름에서 비어있는 곳을 발견, 제시해야 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수 있음 : 여기서 선행연구자를 주어로 밝히는 것은 연구의 분류를 묶어내는데 좋지 않음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목적과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제시 : 선행연구 흐름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미비한 점을 제시 : 발견한 것은 서론에서 제시하지 않음 논문의 구성 : 2장, 3장 … 에서 무엇을 할지 밝힘 2 본론: theory building 주제의 정의 : 주제를 정의해 범위를 한정(조작적 정의) 이론적 배경 제시 : 이 과정에서 서론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지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개념의 구체화 : 개념에서 개념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설계 : 선행연구에서 찾은 개념이 주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계해 제시 (예: Elisa Hernando, Sara Campo (2017), Does the Artist’s Name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an Art Work? 마케팅에서 브랜드 가치 개념을 미술품 시장에서 작가의 이름에 적용하며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 개념 제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는 구매를 유도하는지, 브랜드 가치만으로 구매를 하는지에 초점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가치의 기능과 유익을 제시: 불확정성을 줄이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음 작가의 브랜드 가치는 제품과 마찬가지로 품질과 만족에 영향 곧,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하게 제시하는 구매 후 만족이 미술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 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배경을 설계) 개념은 3 가설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가설로 제시 : 관계를 설명하는데 선행연구가 사용됨 : 개념 간의 영향 관계를 구체화 4 실증분석 데이터 제시 : 자료를 어떻게 획득했는지 ‘데이터’ 절에서 밝혀야 함. : 1차 자료: 직접 설문조사로 획득 / 2차 자료: 기존 자료 활용(외부 기관의 조사 자료) 변수 : 종속변수(알고자하는 것) : 독립변수(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 : 통제변수(독립변수의 영향력을 확실히 하기 위해 통제하는 것, 가설에 포함되지 않음) : 조절변수(moderating, 독립-종속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것, 통제변수가 가설에 포함되면 조절 혹은 독립변수가 됨) : 매개변수(mediating, 독립-종속의 관계가 있어보이는 효과를 주는 것, 매개변수를 줄이면 독립-종속의 관계가 약해짐 분석결과 : 표 1(기술통계량: 표본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 표 2(상관관계분석, 각 변수를 쌍으로 묶었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 종속-통제-독립 순서로 배치, 숫자는 기울기를 의미) (예: 성별(2)과 예술적 관심의 상관관계는 0.25로 **매우 관계가 있음)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표 3(가설검증표, 통제변수를 고려해 독립-종속의 관계를 보여줌) (예: M0은 독립변수 투입 이전 기본 상태, M1-3은 각각의 가설)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발견한 점 : 실증분석을 통해 발견한 독립-종속의 영향 관계를 재정리 연구의 공헌 및 시사점 : 학문적 공헌 / 실무적 공헌 / 정책적 공헌 : 저자의 의도 연구의 한계 : 연구의 한계가 발생한 사유 : 후속 연구의 가능성

연구 가설이나 연구 주제를 쓰는 법

연구 질문이나 가설을 쓰는 방법을 아는 것은 모든 논문, 논문 또는 연구 논문의 시작입니다. 또한 연구 제안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좋은 연구 질문은 여러분의 연구에 있는 글을 명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제시하고, 연구 주제, 목적, 범위 및 한계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좋은 연구 질문이란 무엇인가? 아래는 좋은 연구 질문이 갖추어야 할 덕목입니다: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고 중심이 있어야 합니다. 너무 광범위한 연구 질문은 단일 연구에서 다루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첫번째 이유는 바로 고려해야 할 요인 또는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큰 표본 데이터 또는 너무 긴 실험 시간은 연구 질문의 초점이 뚜렷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특정 연구 질문은 집합 데이터와 관측치가 함께 모여 선택한 가설을 명확하게 확인하거나 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구 질문이 너무 모호하면 데이터가 소개 섹션에서 다루지 않은 대체 연구 문제 및 가설을 생성해버리는 실수를 범할 수 있습니다. 연구 질문은 문헌에 기초를 두어야 합니다. 효과적인 연구 질문은 이전 연구에 기초하여 답변 가능해야하며 검증 가능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과학적 연구는 항상 더 넓은 학문적 합의의 맥락 안에 포함됩니다. 이것은 음모론이나 비주류적인 이론은 좋은 연구 논문 주제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신, 좋은 연구 질문은 연구 분야의 맥락을 확장, 검토 및 검증해야 합니다. 그것은 문헌에 자연스럽게 들어맞아야 하며 다른 연구 저자들에 의해 검색 가능한 내용이어야 합니다. 문헌에 대한 참조는 인용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출판 저널, 대학 또는 학술 기관에서 정한 지침에 따라 적절하게 형식을 지정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내주 괄호 인용 및 참조 섹션이 포함됩니다. 에세이리뷰는 인용 및 참조목록을 작성할 때 도움이 되는 정보 및 도구를 제공합니다.: 연구 질문은 시간, 범위 및 예산을 현실적으로 반영해야 합니다. 연구 과정에는 두 가지 주요 제약 조건인 기간과 예산이 있습니다. 적절한 연구 질문에는 일반적으로 대학원 박사 또는 석사 또는 실험자가 실현 가능한 시간 내에 실행할 수 있는 연구 또는 실험 절차가 포함됩니다. 미래 기술, 값비싼 자원이나 후속 절차를 필요로 하는 연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의 예산은 또한 시기적절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습니다 주요한 제약입니다. 많은 대형 대학 또는 기관에서의 연구는 공적 자금 지원을 받고 있으므로 자금 운용에 책임이 있습니다. 연구 질문은 깊이가 있어야 합니다. 연구 논문, 박사학위논문 혹은 석사학위논문, 학술지 논문들은 보통 수십 혹은 수백 페이지 정도입니다. 훌륭한 연구 질문이나 논제는 피어리뷰 수준으로 견주어야 하고 다른 과학자와 연구자들에 의해 인용될 수준이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복잡해야 합니다. 연구 질문의 유형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두 가지 주요한 연구 유형이며, 각각의 연구 유형에 맞추어 연구 질문을 개발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양적 연구 질문(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s) 양적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연구 질문에는 연구 대상 , 종속 변수 및 독립 변수, 연구 설계가 포함됩니다. 또한 정량적 연구 질문은 연구 질문과 연구 설계를 연결합니다. 또한, 이러한 질문에 대해 “예” 또는 “아니오” 응답으로 확실하게 대답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생물학, 물리학, 화학과 같은 과학 분야는 종종 서로 다른 양, 양 또는 속도가 연구의 관련성을 극적으로 바꾸는 “상태”를 다루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정량적 연구 질문은 “is”, “are”, “does” 또는 “does”와 같은 질적, 범주형 또는 서수의 한정자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정량적 연구 질문의 세 가지 범주입니다.: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s(서술적 연구 질문) 은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한 연구 모집단의 동작을 설명하거나 측정할 변수의 특성을 설명합니다. 이 질문들은 보통 “What?”에 대한 질문입니다. 은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한 연구 모집단의 동작을 설명하거나 측정할 변수의 특성을 설명합니다. 이 질문들은 보통 “What?”에 대한 질문입니다. Comparative research questions (비교 연구 질문) 은 결과 변수의 맥락에서 그룹 간의 차이를 발견합니다. 질문들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특정 변수가 있는 그룹을 그렇지 않은 그룹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은 결과 변수의 맥락에서 그룹 간의 차이를 발견합니다. 질문들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특정 변수가 있는 그룹을 그렇지 않은 그룹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관계성 연구 질문)은 변수 간의 추세와 교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질문에는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가 포함되며 “association” 또는 “trends”와 같은 단어를 사용합니다. 질적 연구 질문(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양적 연구에서, 연구 질문은 더 구체적인 연구 영역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연구 영역과 관련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성적 연구 질문은 정량적 연구 질문들에 비해 방향성, 유연성 및 적응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질문에 기초한 연구는 “발견(discovering)”, “설명(explaining)”, “해설(elucidating)” 및 “탐구(exploring)”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질적 연구는 아래와 같이 범주를 나눌 수 있습니다: Contextual research questions(맥락적 연구 질문) 은 기존 조건을 확인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은 기존 조건을 확인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s(서술적 연구 질문) 은 현상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은 현상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Evaluation research questions (평가 연구 질문) 은 기존 방법, 프로토콜, 이론 또는 절차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은 기존 방법, 프로토콜, 이론 또는 절차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Explanatory research questions (설명 연구 질문) 은 현상을 살펴보거나 주제 또는 현상 사이의 이유 또는 관계를 분석합니다. 은 현상을 살펴보거나 주제 또는 현상 사이의 이유 또는 관계를 분석합니다.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s(탐구 연구 질문)은 특정 항목의 알려지지 않은 측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양적, 질적 연구 질문들 연구 질문 유형 연구 질문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TP synthase? Comparative research question How does human growth hormone mimic the action of testosterone? Correlational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aldness and age?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 Is it possible that VEGF has an effect in plant photosynthesis? Explanatory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cause of increased violence among young adults? Evaluation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fficacy of using toothpaste to heal mosquito bites? 좋은 연구 질문과 나쁜 연구 질문의 예 다음은 연구자가 자체 연구 질문을 작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좋은(혹은 좋지 않은) 연구 질문의 예입니다. 예시 1 애매한 연구 질문 How are children affected by exposure to social media? 구체적인 연구 질문 What is the effect of Instagram Likes on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첫 번째 연구 질문은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모두가 너무 모호합니다. “exposur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인 정보는 없습니다. 이것은 댓글 혹은 좋아요 참여 또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지를 의미합니까? 둘째로, 정확히 “affected”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없습니다. 피실험자의 행동이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변화합니까? 아니면 이 용어는 사용자의 감정과 같은 또 다른 요소를 말하는 것입니까? 예시 2 너무 단순한 연구 질문 Has there been an increase in bullying in the US over the past 10 years? 중심이 있는 연구 질문 What has been the effect of after-school and community programs on student disciplinary actions among elementary students? 이 연구 질문에서 첫 번째 예는 너무 단순하고 충분히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가 질문에 답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가 어렵습니다. 저자는 이 질문에 간단히 “예” 또는 “아니오”로만 대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해서 이 질문에 더 깊이 답변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제대로 구성되지 않은 연구 주제를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고 복잡하며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합니다. 출석률이나 성적과 같은 지표를 기준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bullying”은 기록된 징계 조치의 형태로 경험적, 정량적 측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좋은 연구 질문을 쓰기 위한 단계 좋은 연구 질문은 적절하고 집중되어 있고,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좋은 연구 질문을 떠올리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쉽게 찾아내기 위해서 아래의 단계를 따라보세요. 1. 흥미로우면서 연관성있는 주제 선정하기 흥미로우면서도 자국의 문화나 대학의 역량과 관련이 있거나 일치하는 연구 주제를 선택하십시오. 인기 있는 학술 주제에는 의료 및 의료 관련 연구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공대나 인문대에 다니고 있습니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특정한 공부와 전공과 관련된 연구 질문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는 지역별 출판물 출력에 기반한 가장 인기 있는 연구 분야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보시다시피, 의료와 기초과학은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으며 가장 많은 수의 출판물을 발표합니다. 2. 예비조사하기 연구 주제를 선택했으면 예비 조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첫 번째 연구 단계에서 저자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해야 합니다. 첫째, 관련 문헌들의 사전 검토를 수행하여 학계에서 다른 학자와 동료들이 현재 논의 중인 문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해당 분야의 최신 개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 사전 문헌 검토를 수행하여 주제에서 지식의 차이 또는 한계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이러한 차이를 사용하여 일정 정도 미세 조정한 후 연구 질문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3. 연구를 구체적인 연구 주제로 한정하기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를 잘 다루게 되면 보다 구체적인 연구 분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문헌이나 지식 격차에 집중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문헌과 연구 영역의 한계를 파악함으로써 연구 질문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기존 문헌을 확장하거나 보완하는 연구 질문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4. 연구 주제 평가하기 다음 질문을 통해 연구 질문을 평가해야 합니다.: 내 연구주제가 명확한가? 연구에서 생성하는 결과 데이터 및 관측치는 명확해야 합니다. 정량적 연구의 경우 데이터가 경험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질적인 측면에서 관찰은 여러 범주에 걸쳐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야 합니다.. 연구에서 생성하는 결과 데이터 및 관측치는 명확해야 합니다. 정량적 연구의 경우 데이터가 경험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질적인 측면에서 관찰은 여러 범주에 걸쳐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야 합니다.. 내 연구주제는 중심이 있고 구체적인가? 강력한 연구 질문은 여러분의 방법론이나 테스트 절차가 주관적인 해석에 남겨진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개방형 연구 질문이나 일반 주제와 관련된 질문은 연구의 결과와 목표 사이에 연결을 애매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강력한 연구 질문은 여러분의 방법론이나 테스트 절차가 주관적인 해석에 남겨진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개방형 연구 질문이나 일반 주제와 관련된 질문은 연구의 결과와 목표 사이에 연결을 애매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내 연구 질문이 적당히 복잡한가?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 연구를 보증할 수 있도록 결과적이고 실질적이어야 합니다. 단순히 과학적인 합의를 강화하거나 지지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대부분의 저널에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Related Articles on Academic Writing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그리고 동일 주제로한 두 연구 사례… 질적연구 / 평생교육 https://blog.naver.com/rimjungbin/5016635115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내용 정리) – 2001, 조영남 1. 들어가며 ㄱ. 교육연구 일련의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의 주요 문제들에 대한 타당하고 신뢰로운 정보를 얻기위한 활동 ㄴ. 과학적 방법의 두가지 중요한 형식: 귀납적 방법(질적접근), 연역적 방법(질적연구) ㄷ. 최근 지나친 객관주의와 양화(quantification) 중심의 과학주의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질적 연구와 구성주의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 ㄹ.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주요 특성과 공통점 및 차이점을 논의하고 양자간의 상호 보완 가능성을 탐색해보자!!! 2. 교육 연구의 목적과 유형 ㄱ. 교육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교육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련된 정보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타당하고 일반화 가능한 기술과 예측, 처방 그리고 설명을 도출하는 활동 a. 기술연구: 교육 현상을 주의깊게 매우 구체적으로 관찰하거나 측정하는데 초점 b. 예측연구: 한 시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미래의 행동과 사태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 c. 실험연구: 어떤 처치가 특정 현상을 통제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지에 초점 ㄴ. 연구 결과의 교육 상황에의 직접 적용 가능성에 따른 분류 a. 기초연구: 이론 검증과 이론과 현상간의 관계 연구에 초점 (실제적용은 관심 없음) b. 응용연구: 실제 문제의 해결에 초점 (예: 교육연구: 주로 교수-학습 과정에 일반화 가능한 지식을 추구하기 때문에 대부분 응용연구) c. 평가연구: 실제 적용상의 가치와 장단점 확인에 초점 (예: 행위당사자 연구: 쉽게 이용 가능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직접 적용 가능한 관심주제 연구) ㄷ. 연구수행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a. 질적연구: 현상학에 바탕을 둔 귀납적 방법으로 의미와 개념 구성의 과정과 가치, 맥락, 해석에 초점을 두고, 결과를 이야기체로 보고하는 연구 b. 양적연구: 논리 실증중의에 바탕을 둔 연역적 방법으로 통계적 방법을 동원하여 주로 수치, 측정, 실험, 수량적 관계와 진술에 초점을 둠 3.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 ㄱ.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 특성 양적연구 질적연구 이론적 근거 논리 실증주의 행동주의 현상학, 해석학 자연주의 관련 학문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사회학, 사학 기본 가정 객관적 실재 행동의 규칙성 변인에 대한 통제와 측정가능 기계론적 관점, 외부자적 관점 연구방법에 대한 우선권 구성된 실재 행동의 유연성과 역동성 변인에 대한 통제 불가능 인간의 의도 중시, 내부자적 관점 연구 내용에 대한 우선권 목적 변인들간의 관계 결정 이론 검증 객관적 실체 규명 일반화, 예측 참여자의 관점 이해 이론 개발 실상의 구성 상황성, 해석 설계 사전에 결정, 미시적(협각) 명세적, 구조화 형식적 즉각적, 점진적, 거시적(광각) 일반적, 융통성 직관적 표본 확률적 주로 대규모 무선적 선발 유목적적 주로 소규모 비대표성 절차, 방법 연역적, 실험적 상관적 가설과 이론이 선행 일치와 규준 추구 귀납적, 분석적 문화기술적, 현장연구 가설과 기초 이론의 발견 다원성과 복합성 추구 연구자의 역할 분리적, 객관적 비관여, 원격적 피험자로서의 피험자 객관적 기술 참여 관찰자 동참적, 근접적 친구로서의 피험자 공감적 이해 도구, 자료원 측정, 질문지, 척도, 검사 구조화된 면접과 관찰 현장 기록, 문서, 테이프, 사진 문화기술적 면접과 관찰 자료 분석, 보고 양적, 수량화, 가설 검증 전형적으로 연구 종결시 탈맥락적 일반화 객관적, 통계적 보고서 기술적, 언어화, 패턴 탐색 연구 과정에 걸쳐 지속적 맥락 지향적 일반화 해석적, 이야기체 보고서 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유형 a. 양적 연구의 유형과 기본 절차 – 비실험연구와 실험연구 * 비실험연구 기술연구 – 특정 현상을 기술하는 지식을 산출하는데 목적 (예: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 대구지역 초등학생들의 신체발달 수준 등) 상관연구 – 두개 이상 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초점 (예: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인과-비교 연구 – 실험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변인들간의 인과 고나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음 (예: 기대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성취도 비교) * 실험연구 진실험 – 피험자의 무선 배치 (예: 무선 배치를 통한 TV 프로그램의 유형이 아동의 공격성과 친사회적 행동과 미치는 효과) 준실험 – 피험자의 비무선 할당을 전제로 함 (예: 비무선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한 문학과 수학 통합 교과 수업의 효과) 단일 피험자 연구 – 단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징이 있음 (예: 즉흥 연기시 특정 아동의 언어 수행 분석 연구) – 기본 절차 * 연구 주제 영역 개념화 주제가 명료하게 진술되었는가? 주제가 제목에 정확하게 반영되었는가? 주제가 이론적, 실제적으로 유의미한가? 주제의 이론적 근거가 명세적인가? 개념과 다른 가정들이 명료하고 정당한가? * 주제와 관련된 문헌 고찰 선행 연구와 문제 사이의 관계가 명료한가? 선행 연구 고찰이 적합하고 유의미하며 자료조직되어 있는가? 선행 연구 고찰이 포괄적이고 이해가능한가? 참고문헌에 신구의 주요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 연구 문제/가설 연구 문제와 가설이 명료하고 정확한가? 연구 문제가 해겨할 수 있도록 진술되어 있는가? 가설이 검증 가능한 형태로 진술되어 있는가? * 연구 절차 설계 핵심 변인들이 정확하게 확인되고 정의되어 있는가? 연구 방법과 설계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는가? 연구 방법이 연구 주제와 문제와 일치하는가? 연구의 장단점이 충분히 기술되어 있는가? 모집단과 표변이 충실히 기술되어 있는가? 표집장법이 적합하며, 표본이 편향되어 있지 않은가? 표본이 건전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만큼 대표성이 있으며 충분한가? * 자료 수집 측정치가 연구의 핵심 변인드과 부합되는가? 측정치가 연구 목적에 비추어 타당하며 보충 자료가 제시되었는가? 측정치가 연구 목적에 비추어 신뢰로우며 보충 자료가 제시되었는가? 측정의 실행이 명료하게 기술되어 있는가? 자료 수집과 면접 그리고 기록 절차가 충분하고 명료하게 기술되어 있는가? 채점과 판단 유목이 명료하고 확실한가? 채점자와 판단자의 자격이 기술되어 있는가? 채점자들간의 신뢰도가 기술되어 있으며 적합한가? 예상되는 판단상의 편견이 확인되고 통제되었는가? * 자료 분석 적합한 분석 방법이 선정되고 기술되었는가? 적용된 방법들이 정확한가? 분석 결과가 명료하게 제시되고 보고되었는가? 표와 그림에 제시된 자료가 해석가능한가? 테스트에 제시된 정보가 표와 그림에 수록된 내용과 일치하는가? * 자료 분석 결과 해석 해석이 자료에 근거한 것인가? 결과가 연구 문제와 가설 검증을 담고 있는가? 결론이 논리적이며 증거로 입증되는가? 결론이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에 비추어 도출되었는가? 진술된 결론의 일반화 가능성이 보장되는가? 추론과 의견이 명료하게 지세되었는가? 결과가 다른 연구 성과와 관련이 있는가? 연구자의 편견이 반영되어 있는가? 결과의 함의가 진술되어 있으며, 후속 연구가 제안되어 있는가? 연구가 조직적이며 논리적, 흥미로운가? 연구의 한계와 불일치가 제시되어 있는가? 참고문헌과 표, 그림이 정확하며 주요한 부록이 제시되어 있는가? 논문의 경향이 공정한 태도를 반영하고 있는가? 연구가 반복이 가능하도록 명료하고 충실하게 기술되었는가? 연구의 결과가 그 분야에 신뢰로운 지식을 제공했는가? * 결과 보고 * 연구의 반복 b. 질적 연구의 유형과 기본 절차 – 질적연구의 유형과 특성 질적 연구 접근 현상학 문화기술 상향이론 사례연구 연구목적 특정 현상에 대한 한명 이상의 개인적 경험을 기술 (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대한 경험) 특정 집단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적 상황 기술 특정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상향이론을 귀닙적으로 산출 한가지 이상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연구 문제와 잇슈를 해결 학문적 기원 철학 인류학 사회학 상업, 법률, 사회과학, 교육을 포함한 다학문적 기원 주요 자료 수집 방법 10명 정도까지의 심층 면접 장시간 (예: 한달~1년)의 참여 관찰, 정보원과의 면접 20내지 30명을 대상으로 면접. 관찰도 자주 활용 중다 방법 (예: 면접, 관찰, 문서기록) 자료 분석 접근 중요한 진술 열거, 진술의 의미 판단, 현상의 본질 확인 자료에 포함된 문화적 테마에 대한 총체적 기술과 탐색 개방적 코딩에서 출발하여 축을 중심으로 코딩, 선택적 코딩으로 진행 사례에 영향을 미치는 테마에 대한 총체적 기술과 탐색 이야기 보고의 초점 경험의 본질적 또는 불변의 구조(즉, 공통적 특성 또는 본질)에 대한 풍부한 기술 맥락과 문화적 테마에 대한 풍부하 기술 연구 주제와 인물 기술, 상향이론 제시로 종결, 명제 열거도 가능 사례의 맥락과 작용에 대한 풍부한 기술. 테마, 잇수, 함의에 대한 논의 – 질적 연구의 기본 절차 * 연구 주제 개념화 녀구의 개념적 틀이 명료한가? * 주제와 관련된 문헌 고찰 * 연구 절차 설계 연구에 사용된 절차가 상세하게 설명되었는가? * 자료 수집 표집 방법과 더불어 자료원(사람이든 문서든)이 잘 기술되었는가? 자료 수집 방법이 잘 상술되었는가? * 자료 분석 분석 방법이 상세하고 적합하며 귀납적인가? * 분석된 자료의 해석 개념과 구인이 산출되었는가? 유목의 개발과 더불어 구인들간의 개념적 관계가 설명되었는가? 방법과 결과가 편향되지 않았는가? 개념적, 이론적 결과가 유의미한가? * 결과 보고 * 연구 결과 재생산 4.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ㄱ. 질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a. 상호작용 방법과 비상호 작용 방법 – 상호작용 방법 * 참여관찰: 문화기술법에 기초를 둠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 에 대해 상세히 기록한 현장 노트를 중심으로 스케치, 사진, 오디오, 비디오테이프 등을 활용하여 관찰한 내용을 기록 * 면접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반응자의 사고, 지각, 느낌 등을 파악 – 비상호작용 방법 * 인공물과 문서수집 다양한 종류의 기존 자료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 * 비참여 관찰 b.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의 핵심은 코딩(coding) 즉 수집된 자료를 유의미하게 유목화하는 과정에 있음 c. 자료분석 – 질적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수집과 분석이 번갈아 이루어짐 – 중간분석(interim analysis):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부가적 자료 수집과 분석 등 연구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순호나적 과정 – 자료 분석 절차 * 자료 필기 * 필사본 읽고 재읽기 (진행 상황 이해를 위해 자료에 몰입) * 자료 분절화와 코딩 * 단어와 코드화된 유목 세기 * 자료 속의 관계와 테마 탐색 * 자료 해석에 도움이 되는 다이아그램 산출 ㄴ.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방법 A. 자료수집 방법 – 측정 * 표준화 검사 * 특별히 개발된 객관적 측정 도구 * 구조화된 질문지와 면접 b. 자료 분석 기법 – 기술통계 집중경향 (최빈치, 중앙치, 평균), 변산도 (범위, 표준편차, 변량), 그리고 관계(상관계수) 측정치를 계산하여 일련의 자료를 기술 – 추리통계 표본 통계에 기초하여 모집단 패러미터를 추정하거나, 가설을 검증 – 집단의 평균 비교: t-검증과 변량분석(ANOVA) ㄷ.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a. 질적연구의 신뢰도: 연구의 재생산 가능성 (reproducibility) 서로 다른 연구자들이 동일한 현상을 발견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고, 참여자들이 결과의 의미에 동의하는 정도 – 외적 신뢰도 (결과물에 대한 평가?) 다른 연구자들도 동일한 현상을 발견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구성 개념을 산출하는지 여부 – 내적 신뢰도 (연구 방법에 대한 평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이미 산출된 일련의 구성 개념을 제시했을 때, 원 연구자가 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료와 구성 개념을 결부시킬 수 있는 정도 b. 질적 연구의 타당도: 결과의 정확성 (accuracy) (신뢰도는 타당성을 위한 필수 선행 요건임) – 외적 타당도: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Generalizability) 구성 개념과 전제들이 다른 집단에 적용가능하도록 산출되거나 정교화 또는 검증된 정도를 의미 * 외적 타당도 위협 요인 참여자 선정, 연구 상황, 역사, 구성개념 – 내적 타당도 연구자들이 자신이 관찰 또는 측정하고자 한 것을 실제로 관찰하거나 측정한 정도 * 내적 타당도 위협 요인 역사, 성숙, 관찰자, 참여자 선정, 참여자의 감소 또는 탈락, 비논리적 결론 c. 신뢰성과 타당성 증대 방안: 삼각검증법(triangulation) – 다면적 방법 즉, 연구의 관점과 시간, 공간 등을 달리 하여 연구를 재검토하는 기법 * 자료 삼각 검증 다양한 자료의 원천을 활용하여 신뢰성 검증 * 연구자 삼각 검증 다수의 연구자가 참여하여 지나친 편견과 주관을 배제하여 신뢰성을 높임 * 방법론적 삼각 검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임 ㄹ. 양적 연구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 a. 양적 연구에서의 신뢰도: 일관성(consistancy)과 안정성(stability) 검사-재검사 신뢰도(안정성), 동형검사 신뢰도(동형성), 반분신뢰도, 문항내적합치도, 채점자간 신뢰도 신뢰도는 타당도를 위한 필요조건은 되지만, 충분조건은 되지 않는다. b. 양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 검사 점수를 통해 도출한 추론의 적합성과 유의미성 그리고 유용성 – 내적 타당도 실험 연구의 기본 요건으로, 실험의 신뢰성을 말함 * 내적 타당도 위협요인 역사, 성숙, 검사, 도구 사용, 통계적 회귀, 피험자 선정, 피험자 탈락, 실험 진행 자체의 역사 – 외적 타당도 실험을 통해서 획득된 지식의 일반화 가능성 논리타당도,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 * 외적 타당도 위협 요인 비대표성 표집, 시간, Hawthorne 효과, John Henry 효과, 신기성 효과, 실험자 효과, 중다 처치에 의한 간섭, 종속변인의 일반화 곤란, 애매한 독립 변인 5.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가능성 ㄱ. 두 연구의 공통점 a. 지식을 산출한다. b. 엄격성(체계적, 전문적인 역할 수행)을 지니고 있다 c. 결과를 현장과 공유한다. d. 측정 도구를 활용한다. 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보완점 a. 각 연구를 통해 산출된 지식은 상호보완적이다. b. 각 접근의 측정 방법은 상호보완적 이다. 양적은 평가의 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질적은 평가의 깊이와 상세함에 대한 정보를 더해 준다. ㄷ. 질적연구와 양적 연구와의 관계 (상호 보완적인라는 관점에 집중) a. 여러 방법의 결합이 지식을 산출하고 다양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는데 최선이라는 점 b. 복합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자야말로 신뢰롭고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가장 잘 갖춘 연구자라는 점 c. 방법론상의 전쟁을 벗어나 연구 그 자체를 수행하는데 에너지를 전환해야 한다는 점 d. 인식 관점에 따라 과학의 분야와 탐구 유형을 구분하고 있지만 이는 이념적으로만 가능할 뿐 실제적으로는 과학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ㄹ.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설계 (Creswell, 1994) a. 이단계 모델 (two-phase) 질적 단계가 양적 단계에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것 b. 우선-차순 설계(dominant-less dominant) 우선적인 패러다임을 확인하고 이를 수행한 다음, 탐구 과정에서 대안적인 피러다임을 활용하여 필요한 부분의 연구를 수행 ㅊ. 혼합방법론 (Mixed – methodology) 연구자가 연구의 전반에 걸쳐서 각 접근의 여러 측면들을 혼합하는 것 c. 각 접근은 서로의 접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와줄 수 있다. (Miles와 Huberman, 1994) a. 양적, 질적 측면을 완전히 통합하여 동시에 진행 b. 다면(multiwave) 설계 질적 현장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양적 조사 단계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짐 c. 질적-양적-질적 설계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양적인 설문 조사 실시 – 설문 결과를 강화하고 검증하기 위해 질적 절차 수행 d. 양적-질적-양적 설계 양적 조사 연구 실시 – 질적 연구로 조사 결과에 의미 부여 – 두 단계 수집 정보를 바탕으로 양적 실험 실시 (Patton, 1990) a. 실험설계 – 질적 자료 수집 – 내용 분석 b. 실험 설계 – 질적 자료 수집 – 통계적 분석 c. 자연주의적(질적) 설계 – 양적 자료 수집 – 통계적 분석 d. 자연주의적 설계 – 양적자료 수집 – 통계적 분석 6. 정리하며 세상을 이해하는데 수(numbers)와 이야기(words) 모두를 필요로 한다. 인간 자체도 양적인 존재이자 질적인 존재이다. 관심주체를 탐구함에 있어서 어느 한 방법에 전적으로 매달리지 않고 여러 방법 중에서 효과적인 대안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사례 비교 8. 개인적 생각 양적 연구, 질적 연구의 구분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어떤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는가에 관한 기준이다. 따라서 양적 연구가 옳은가, 질적 연구가 옳은가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연구의 대상이 무엇이고 연구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선택되고, 활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연구자의 자질 문제, 연구 기간과 대상을 확보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어느 한가지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다소 이해하기 힘든 주장이다. 연구의 목적은 분명 타당하고 신뢰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인데,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타당하고 신뢰롭지 않은 방법을 활용하자는 것은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제한된 자원을 활용하는 현실의 연구 상황에서는 이론적으로 완벽한 연구 방법을 모두 활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방법에서 도출된 상호 모순적인 결과치에 대한 분석 역시 쉽지 않을 것이다. 때문에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 연구 방법을 선택하게 되며, 이러한 선택에는 연구 방법이 질적이냐 양적이냐의 측면보다 어떤 연구 방법이 연구 목적에 부합할 수 있겠는가가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가급적 질적/양적 연구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되어 연구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방법에 대한 많은 학습과 경험을 해보고 해보고 싶다. 인쇄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양적 연구 주제 예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사회문화 양적연구 주제 예시, 양적연구 주제 추천, 사회문화 연구주제 추천, 경제 양적연구 주제, 양적연구 가설 예시, 양적연구 논문 예시, 양적연구 보고서, 질적연구 주제 예시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양적 연구 예시

다음은 Bing에서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YouTube에서 양적 연구 예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양적 연구 예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아두 이노 실험 | 아두이노, Led를 이용한 플랑크 상수 구하기 실험 상위 245개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