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환경 분석 |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10296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내부 환경 분석 –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azzett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cazzett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담덕의 경영학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923회 및 좋아요 9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내부 환경 분석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 내부 환경 분석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늘은 기업의 내부환경분석인 경영자원과 핵심역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부환경분석은 기업이 갖고 있는 경영자원이나 핵심역량, 조직구조, 기업문화, 리더십과 같은 기업 내부의 강점을 가질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 기업의 역량을 여기에 집중을 하자는 이론적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스왓분석으로 치면 강점과 약점이 이에 해당하며, 주요 분석기법으로는 마이클 포터 교수의 가치사슬분석과 맥킨지의 7S모델 등이 있습니다. 자 그럼 기업 내부환경분석은 어떤식으로 진행을 하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영상 내용 미리 확인하기
[00:57] – 내부환경 분석의 개념
[03:09] – 기업의 경영자원
[04:57] – 핵심역량(Core Competency)
[06:49] – 내부환경 분석의 기법
[08:10] –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
[09:48] – 가치사슬과 가치시스템의 관계
[11:51] – 7S Model
***********************************************
♣ 담덕의 MBA스쿨 (카페)
https://cafe.naver.com/mbanote
♣ 담덕의 경영학노트 (블로그)
https://mbanote2.tistory.com
***********************************************
영상이 도움되셨다면 \”구독하기 + 좋아요\”를 부탁드립니다!
#경영전략 #경영전략강의 #전략과경영

내부 환경 분석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리마인드 전략 ③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 …

내부환경 분석이란 기업의 경영현황을 진단하고,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내부 역량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내부역량이란 기업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anote2.tistory.com

Date Published: 6/29/2022

View: 238

내부환경 분석 : 가치사슬(Value chain)분석, SWOT 분석 전략

내부환경 분석 : 가치사슬(Value chain)분석, SWOT 분석 전략 · 물류투입 : 원재료나 부품의 구입과 배송 등 · 생산 및 운영 : 구매한 재료의 조립과 가공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tartupbrothers.tistory.com

Date Published: 8/6/2022

View: 2487

내/외부 환경분석 – 비트코기의 IT Note

I. 경영전략 수립절차 Step1, 내/외부 환경분석의 개요. 가. 내부환경분석의 정의. – 기업의 사업/재무적 성과를 파악하고 제품/서비스 및 고객에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itpenote.tistory.com

Date Published: 10/27/2021

View: 6517

[전략경영] 6. 내부환경분석

1. 기업의 경영자원 90년대 초반부터 전략경영의 관점은 외부환경 분석에서 내부 경영자원, 핵심역량 분석으로 초점이 변함. 기업의 경쟁우위는 내부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el-d.tistory.com

Date Published: 8/19/2021

View: 5086

내부환경분석 : 우리의 상황은 이렇습니다

내부환경분석 : 우리의 상황은 이렇습니다. 워라블렌딩 2021. 5. 31. 08:08. 어떤 기획이든 기업 내부 상황에 대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hotcoca.tistory.com

Date Published: 2/11/2022

View: 2136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과 SWOT분석 – 레포트월드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과 SWOT분석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I. 내부환경분석1. 내부환경분석의 의의 전략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오는 기회를 기업의 내부능력 …

+ 더 읽기

Source: m.reportworld.co.kr

Date Published: 6/30/2022

View: 1850

조직구조와 기업문화

기업 성공을 위한 경쟁전략. 기업의 외부환경 분석. 경쟁자. 고객. 공급자. 기업의 내부환경 분석. 경영자원. 핵심역량. 조직구조. 기업문화/리더쉽. 기업의 목표.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contents.kocw.or.kr

Date Published: 8/21/2022

View: 837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내부 환경 분석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내부 환경 분석

  • Author: 담덕의 경영학
  • Views: 조회수 9,923회
  • Likes: 좋아요 97개
  • Date Published: 2019. 1.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lkUcseae28

리마인드 전략 ③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안녕하세요. 담덕입니다. 오늘은 기업의 내부환경분석인 경여자원과 핵심역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부환경분석은 기업이 보유한 경여자원이나 핵심역량, 조직구조, 기업문화, 리더십과 같은 기업 내부의 강점을 가질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 기업의 역량을 집중하자는 이론적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1. 내부환경분석의 개념

내부환경 분석이란 기업의 경영현황을 진단하고,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내부 역량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내부역량이란 기업의 능력으로서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조직역량을 말하며, 유형자산과 무형자산까지 모두를 포함한 경쟁역량을 의미합니다.

내부환경 분석의 구성은 보시는 그림과 같이 큰 축으로 경영현황을 진단하게 되고, 이후 내부역량을 분석한 후에 시사점을 도출하게 됩니다. 전략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라고 볼 때 표면적인 결과에서 1차원인을 찾고, 세부원인으로 탐색해 나가는 과정이 바로 내부환경분석입니다.

사업성과 및 재무성과 분석은 현재 비전 및 전략 하에서 사업성과 와 재무성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하고, 제품 및 서비스분석은 우리제품 및 서비스의 브랜드, 품질의 수준과 인지도는 어떠한지에 대한 분석을 의미합니다. 고객분석은 우리의 고객은 누구이고, 그들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은 우리에게 어떤 가치적 존재인가를 파악하는 분석입니다.

사업기능분석은 각 사업기능의 측면에서 문제점과 이슈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hr분석에서는 조직구조 및 운영 그리고 조직문화 등의 업무스타일은 긍정적으로 작동을 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됩니다. csf 분석은 사업성공요소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며, 내부역량분석이 끝이나면 시사점을 도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부환경 분석은 이루어지며 경쟁업체와의 비교를 통해 기업 내부적으로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된 보유역량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하게 도출하게 되는 것입니다.

2. 기업의 경영자원

기업의 경영자원은 기계와 같은 자본재, 종업원들이 보유한 기술, 기업이 보유한 특허권과 브랜드 등을 포함한 총체적인 자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영자원으로는 크게 유형자원, 무형자원, 인적자원 등으로 구분을 합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유형자원은 기업이 보유한 공장, 기계, 건물 등의 금융자산과 물적자산 등을 의미합니다.

무형자산은 기업이 갖고 있는 좋은 이미지나 명성, 브랜드와 같은 무형의 자원으로 경쟁기업이 모방할 수 없는 중요한 경영자원을 의미합니다. 또한 기업이 갖고 있는 기술이나 특허도 금액으로 평가하기 힘든 기업특유의 무형자원입니다.

인적자원은 그 성과를 측정하기 어려운 것이나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 흔히 말하는 인재라고 불리우는 자원을 말합니다. 인적자원이 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경영자원으로 파악되는 이유는 많은 경우 기업의 무형자원이 그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체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적자원이 기업이 갖고 있는 각종 경쟁우위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경쟁우위가 되는 기술이나 노하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근본적인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3. 기업의 핵심역량

핵심역량이란 기업의 여러 가지 경영자원 중 경쟁기업에 비해 훨씬 우월한 능력, 즉 경쟁우위를 가져다 주는 기업의 능력을 의미합니다. 핵심역량이 중요한 이유는 동일한 산업 내에서도 기업이 가지고 있는 핵심역량에 따라 기업의 성과가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경쟁자와 차별화되고, 경쟁자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핵심역량이 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핵심역량이 될수 있는 요건으로는 가치가 높은 것, 희소성 및 모방이 어려운 것, 경쟁사 대비 차별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 다른 사업으로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핵심역량으로 보고 있습니다. 핵심역량이 될수 있는 자원을 평가할 때는 전문가의 평가나 객관적인 자료를 가지고 평가를 하게되는데요. 경쟁자가 모방하기 힘들고 차별화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쟁 환경에 가장 적합한 핵심역량의 개발과 지속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핵심역량 관점에서 강조하는 포인트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나 역량이 기업이 속해있는 환경 내에서의 핵심성공요소와의 적합도가 높을 때 비로소 핵심역량이 되고, 경쟁우위로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하면 산업 내 핵심성공요소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나 역량간의 동태적인 상호 복합성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느냐 하는 것이 핵심역량의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4. 내부환경분석의 절차

내부환경 분석의 절차는 기업 경영활동에 대한 결과를 재무적으로 분석을 먼저 시행하고 세부원인에 대한 분석을 이후에 해나가며 마지막으로 내부환경에서 발견된 이슈를 종합해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순으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사업과 재무성과 분석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수익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제품 및 고객분석은 제품과 서비스의 적정성 및 고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시장을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내부역량분석은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별 보유역량을 파악하기 위한것이고, 이들의 분석들을 통해 회사성과와 보유역량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성과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게 됩니다.

내부환경 분석에서는 내부역량분석이 중요한데 대표적인 분석툴은 마이클포터 교수가 제시한 가치사슬분석과 맥킨지의 7s 모델을 들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바로 이 2가지 분석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5.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

기업의 핵심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생산활동을 가치사슬을 통해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가치사슬이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함에 있어 부가가치 창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활동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마이클포터 교수는 기업의 전반적인 활동을 본원적활동과 보조적 지원활동으로 나누어서 기술개발을 시작으로 제품설계, 제조, 마케팅, 유통, 서비스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각 부문에서 비용이 얼마나 들고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지를 가치사슬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같이 가치사슬을 사용해서 기업들의 활동분야를 여러단계로 나누어 본 다음, 각 단계별로 가장 뛰어난 경쟁자와 벤치마킹을 통해 자신이 경쟁우위가 있는 부문과 그렇지 않은 부문을 파악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핵심역량이 어디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진단을 하게 됩니다. 다만 주의할 점으로는 핵심역량을 기업이 갖고 있는 단순한 기능별 능력으로 치부하면 안된다라는 점이고, 여러 가지 기능별 능력들을 조합해서 조직상의 능력으로 승화시킬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6. 가치사슬(Value Chain)과 가치시스템의 관계

가치사슬분석과 연계를 해서 가치활동과 가치시스템에 대해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특정 산업에 있어 회사의 가치사슬은 가치시스템이라고 하는 보다 큰 활동들의 흐름속에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표를 보게되면 가치사슬은 기업내부에서의 가치활동들을 통해 연결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내 프로세스입니다. 반대로 가치시스템은 기업간 가치사슬의 연결을 통해 최종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세스입니다. 회사의 가치사슬은 가치시스템이라고 하는 보다 커다란 활동들의 흐름속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가치시스템은 회사내의 가치활동들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회사의 가치사슬과 공급자 가치사슬, 구매자 가치사슬이라는 전방채널 가치사슬 사이에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창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치시스템은 기업간 뿐만 아니라 동종업체, 산업 및 국가간에 이르기까지 확장될 수가 있으며, 각각의 경쟁우위 강화 및 구축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한 기업의 가치사슬은 그 산업 내에 있는 공급자와 최종소비자의 가치사슬과 맞물려 있으며, 이 가치활동의 산업 전체적인 흐름을 가치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나중에 배우겠지만 공급사슬관리 SCM, 고객관계관리 CRM, 전사적자원관리 ERP 등 모두 상호의존적인 가치사슬로써 연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도 개념정리를 하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7. 7S Model

기업의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기법으로는 맥킨지에서 개발한 7s 모델도 있습니다. 7s 모델은 기업의 역량을 진단하는 모델로서 공유가치, 전략, 역량, 조직구조, 시스템, 직원, 스타일의 7가지 측면에서 면밀히 분석하고 진단하는 분석기법입니다.

7s모델은 까다로운 가치사슬분석과는 달리 비교적 쉽게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조직구조나 시스템과 같은 하드한 측면과 공유가치나 문화 같은 소프트한 측면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총체적으로 조직역량을 진단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업의 내부자원을 열거하여 조직력을 분석하는데 편리한 도구인 7s는 이상적 조직의 모습이나 전략을 검토하는 도구로 활용이 되는데 전략, 조직구조, 시스템이라는 3요소는 하드웨어적 경영자원으로 비교적 단기간에 바꿀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가치관, 능력, 인원, 문화라는 4요소는 소프트웨어적 경영자원으로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해야 바꿀수가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하드웨어를 바꾸어도 소프트웨어가 그대로인 기업은 결코 변화를 할 수가 없고 핵심역량을 창출하기가 어려워 경쟁우위를 갖출수가 없다는 점입니다.

자~ 여기까지 기업의 내부환경 분석인 경영자원과 핵심역량 그리고 분석기법인 가치사슬분석과 7s모델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사업부수준의 경쟁전략인 사업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부환경 분석 : 가치사슬(Value chain)분석, SWOT 분석 전략

728×90

반응형

나. 내부환경 분석

과거 성과와의 비교, 산업 진화 단계에 따른 평가, 경쟁사와의 비교, 산업 내 핵심성공요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경쟁적 위상을 평가

(1) 기능별 내부능력 분석

경영전반 : 경영자의 능력, 기업이미지, 기업문화, 정보시스템 등

R&D·기술 : 신제품개발, R&D투자 연구개발인력, 기술개발체제, 경험 및 노하우, 기술 차별성, 특허보유정도 등

생산 : 공장입지, 생산성, 공정혁신, 품질, 설비의 효율성, 원자재 조달, 생산능력, 제품의 다양성 등

인사/조직 : 조직체계 및 인사정책, 인력의 질과 숙련도, 교육훈련 투자, 노사관계 등

재무 : 매출 및 수익, 재무구조, 자본 조달 능력, 자금 운용 능력 등

마케팅 : 브랜드, 가격, 고객, 서비스, 유통 채널, 촉진활동, 영업조직, 시장점유율

글로벌화 : 수출비중, 해외시장기반, 국제적 전문인력

(2) 가치사슬분석 : 기업의 전략적 단위 활동 구분을 통해 강점과 약점을 파악

본원적활동(주요활동) : 물류투입, 생산 및 운영, 산출물, 마케팅과 판매, 서비스

물류투입 : 원재료나 부품의 구입과 배송 등

생산 및 운영 : 구매한 재료의 조립과 가공

물류산출 : 제조한 제품의 창고 또는 소매점 배송

마케팅과 판매 : 제품의 영업 선전이나 점포에서의 판매활동 등

서비스 : 판매 후의 문의 대응이나 사후 A/S 등

지원활동 : 구매조달(투입요소의 획득), 기술 및 연구개발, 인적자원관리, 기업의 전반관리(하부구조)

구매조달 : 주활동을 지원하는 물건이나 서비스 구입

기술 및 연구개발 : 주활동과 관련된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 각종 테스트 등

인적자원관리 : 인재채용, 교육, 급여 업무 등

기업 전반관리(하부구조) : 기획, 재무, 경리, 법무, 정보시스템 등

가치사슬(Value chain) 연계 : 가치사슬 내의 연계 공급자나 유통경로의 가치사슬과 기업의 가치사슬의 연계 등

다. 스왓분석(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1) SWOT 분석 : 기업의 환경 분석과 내부 능력 분석의 결과 종합하여 전략 방안 도출

환경의 기회와 내부적 강점을 활용하여 외부적 환경과 기업의 약점을 최소화

기업이 처한 대내외의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기업이 선택 가능한 전략 대안들을 도출하는 역할

(2) SWOT분석을 통한 전략

SO(Strengths, Opportunities), 시장기회선점 및 다각화 전략 : 기회의 이익을 얻기 위해 강점이 이용되는 전략, 기회의 이익을 얻기 위해 강점이 이용되는 전략, 이 경우에는 공격적, 성장 지향적인 전략이 바람직

ST(Strengths, Threats), 시장침투 및 제품확충 전략 :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강점을 이용하는 전략, 강점이 많은 기업 임에도 불구하고 환경여건이 불리한 상황, 다른 제품 시장에서 현재의 강점을 활용하는 전략, 즉 다각화 전략이 바람직

WO(Weaknesses, Opportunities), 핵심역량강화 및 전략적 제휴 전략 : 약점을 극복함으로써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 시장의 기회는 풍부하나 내부 능력의 취약성으로 기회 활용이 제약받고 있는 상황, 내부 약점의 단기적 개선을 통해 기회를 적극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필요

WT(Weaknesses, Threats) 철수 및 집중화 전략 : 위협을 회피하고 약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 기업의 가장 불리한 상황으로서 환경도 좋지 않고 내부 능력도 취약한 경우, 사업을 축소하거나 전략 방향을 재조정 등의 방어적 전략이 요구

728×90

반응형

외부 환경분석

7S 기법, BCG 매트릭스, 9-Box 매트릭스, 5 Force, Val-IT

I. 경영전략 수립절차 Step1, 내/외부 환경분석의 개요

가. 내부환경분석의 정의

– 기업의 사업/재무적 성과를 파악하고 제품/서비스 및 고객에서 그 원인을 찾고 제품/서비스 및 고객 만족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 프로세스, 인력 등에 대한 열위 및 우위를 파악하여 전략 도출

나. 외부환경분석의 정의

– 경영목표 및 평가체계 수립을 위해 외부 환경 변화를 파악/분석하여 이에 대한 기회 및 위험 요인을 도출하는 단계

다. 내/외부 환경분석 절차

II. 내부환경분석 기법

기법 구분 설명 7S 개념 조직의 변화대처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7가지 경영 요소로부터 조직을 진단하고 전략수립, 실행, 평가하는 내부 역량분석 경영 모델 구성도 직접적 영향 Strategy(전략), Structure(조직구조), Systems(제도) 간접적 영향 Skills (핵심역량, 숙련), Staff(인적자원), Style(경영방식) 핵심 요소 Shared Values(가치공유) Value Chain Analysis 가치사슬을 이용한 내부 환경분석 기법

III. 외부환경분석 기법

기법 구분 설명 BGC 매트릭스 개념 보스턴 컨설팅 그룹에서 1970년대 초반 개발한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기법으로 자금의 투입과 산출 측면에서 사업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내리기 위한 분석 도구 영역 초기상품 규모가 크고 원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경쟁자에 대항하여 성공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을지 의문시 되는 사업 히트상품 시장 성장률이 높고 시장에서 강력한 우위를 구축하고 있는 사업, 상품 성숙기 성장률이 낮은 시장에서 앞선 우위를 구축하고 있는 사업, 상품 쇠퇴기 저성장 분야에서 시장 지위가 취약한 사업, 상품 한계점 현재 사업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경 영향과 전략 실행 효과에 의해 매트릭스 상에서 위치 변화 사업부 간의 시너지 효과를 간과, 기업 전략에 영향을 주는 다른 여러 요인 고려 필요 9-Box 매트릭스 / GE 매트릭스 개념 기업내부의 비즈니스 강점 분석을 외부의 산업분석과 결합하는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전략 사업 단위의 경쟁 상황을 평가하고 사업 단위가 합리적으로 자원배분 할 수 있는 도구 구성 구성요소 산업 및 시장의 매력도 시장규모, 시장성장률, 이익률, 경쟁도, 수요 변동 상황, 규모의 경제, 기술변화, 정부규제 등 변수의 가중 평균 사업의 강점 (제품경쟁력) 상대적 시장 점유율, 재무적 성과, 기술력, 생산능력, 판매효율성, 품질, 가격 경쟁력, 고객에 관한 정보 등을 고려한 사업 단위의 상대적 위치 상황평가단계 1. 분석단위결정 > 2.변수 파악 > 3.가중치부여 > 사업단위위치결정 전략개발단계 현재 전략을 계속 수행할 경우 환경 변화에 따르는 미래상황 예측 5 Forces 개념 산업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소 (산업 내 경쟁, 잠재적 경쟁자, 대체재, 구매자, 공급자)에 대한 관계 분석을 통해 산업의 수익률을 분석하는 방법 특징 전략방향 제시, 체크리스트 제공, 매력도 분석가능 구성 구성요소 산업내경쟁 이미 있는 경쟁자들이 얼마나 치열하게 경쟁하는지 표시 잠재적경쟁자 진입장벽과 예상되는 경쟁기업의 보복이라는 두가지 요건 파악 대체품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의 수익성을 감소시키는 요인 분석 공급자 구매자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공급하는 부품이 차별화 되어 있으면 공급선을 교체할 때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공급자가 교섭력을 갖는다. 구매자 구매비중이 크고, 구매하는 제품이 차별화되어 있지 않으며 구매자가 공급업체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질수록 구매자가 교섭력을 갖는다. Val IT 프레임 워크 개념 IT 투자로부터 비즈니스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측정하고 감시하고 최적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기업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포괄적이고 실용적으로 구성된 프레임 워크 역할 7원칙 IT투자관점 투자 포트폴리오로써 관리 비즈니스 가치창출에 필요한 전체 활동 전체 투자 주기를 통해 관리 가치전달관점 다르게 평가되고 관리될 다른 투자유형으로 인식 평가지표를 정의하고 모니터하며 변화에 대해 빠른 대응 모든 이해당사자와 관련, 비즈니스 수익의 현실화 책임 가치 전달 사례는 지속적으로 모니터, 평가, 개선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가치거버넌스 가치관리 Practice가 기업에 포함됨을 보증, 가치확보 보증 포트폴리오 관리 기업이 IT를 활용한 투자 포트폴리오에 따라 최적화된 가치를 확보하는 것을 보증 투자관리 최적화된 가치를 위해 기업의 IT를 활용한 투자기여 보증

반응형

[전략경영] 6. 내부환경분석

<6. 내부환경분석>

1. 기업의 경영자원

90년대 초반부터 전략경영의 관점은 외부환경 분석에서 내부 경영자원, 핵심역량 분석으로 초점이 변함. 기업의 경쟁우위는 내부의 경영자원이나 핵심역량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경영자원론 확산.

기업의 경영자원은 기계와 같은 자본재, 종업원들이 보유한 기술, 기업이 보유한 특허권과 브랜드 등을 포함한 총체적인 자원.

(1) 유형자원

눈에 보이며 우리가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평가할 수 있는 자원. 공장, 기계, 건물, 금융자산..

(2) 무형자원

유형자원은 시장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조달 가능. 특별한 경쟁우위를 창출하지 못함.

기업에게 경쟁 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은 무형자원. 기업의 이미지, 명성 등. 기술이나 특허권도 화폐단위로 평가하기 힘든 무형자원. 매년 2천개 이상 특허 획득해야 특허획득 top 10안에 들 수 있음.

(3) 인적자원

무형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음. 인적자원의 노하우, 기술, 의사결정능력 등이 사람에 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의 가장 중요한 경영자원을 인적자원으로 꼽는 연구도 존재할 정도로 중요.

2. 기업의 핵심역량

모든 경영자원이 다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수 없음. VRIO 조건 만족해야 함.

– Valuable 가치있는 경영자원이어야 한다.

– Rare 많은 기업이 가지지 못한 희소한 경영자원이어야 한다.

– Inimitable 모방하기 어려운 경영자원이어야 한다.

– Organization-specific 다른 경영자원과 결합되어 우리 회사에 특화된 경영자원으로서 이윤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1) 나무뿌리의 핵심역량

핵심역량은 단순히 그 기업이 잘하는 활동이 아닌 경쟁기업에 비해 우월한 능력을 의미.

큰 나무를 다각화된 기업이라고 생각하면, 나무의 큰 줄기와 가지는 기업이 만드는 핵심제품이고 열매는 최종제품. 나무에 영양분을 제공하고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것은 뿌리. 이것이 바로 핵심역량.

나무뿌리 핵심역량이 만족해야 하는 조건

– 뿌리는 나무 전체에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미침

– 새로운 가지는 기존 가지가 아닌 뿌리에서 나옴

– 가지는 잘 보이지만 뿌리는 흙에 가려져있어 보이지 않고 모방이 불가능함.

(2) 핵심역량의 3가지 특징

1) 가치창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2) 기업이 다양한 사업이나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핵심역량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제품이나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음.

3)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어려워야 한다.

(3) 캐논의 핵심역량

광학기술, 정밀기계기술, 마이크로전자기술을 결합시켜 경쟁우위를 가져올 수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인재배치와 투자자금의 배분도 사업부 단위로 하지 않았음. 새로운 사업기회 포착시 각 사업부 경영진들이 필요 인력을 다른 사업부에서 끌어올 수 있게 조직 설계. 이 방법을 통해 전통 사업분야 기술을 신규 사업으로 확산시켰고 연구 인력에게 더 많은 기회 제공하였음.

3. 가치사슬분석

맥킨지 컨설팅사가 개발한 business system을 마이클 포터가 정교한 분석틀로 발전시킨 방법론.

기업의 전반적인 활동을 주요 활동 분야와 지원 활동 분야로 나누어 구매부터 물류, 생산, 판매, A/S 단계에 이르기까지 비용이 얼마나 들고 소비자들에게 부가가치를 얼마나 창출하는지 분석할 수 있게 도와줌. 기업에 따라 주요활동이 다를 수 있음. 유통회사는 구매물류, 생산, 배송물류, 마케팅, 영업 등이 주요활동. 제조회사의 경우 연구개발, 설계, 생산, 마케팅, 영업 등이 주요활동.

그러나 지원활동의 경우 기업 특성에 관계없이 대체로 유사함. 기업하부구조, 기술개발, 인사관리 등이 지원활동에 포함.

(1) 가치사슬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회사의 핵심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거침.

1) 회사의 전반 활동들을 주요활동과 지원활동으로 분류

2) 업의 본질 파악. 이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 기업이 갖춰야 할 조건(산업의 핵심성공요소 industry KSF). 산업에 따라 KSF가 다를 수 있음.

3) 주요 경쟁자 대상으로 우리 회사의 역량수준을 비교 평가

가치사슬분석 결과는 도식화 가능. X축은 활동의 전략적 중요도(혹은 산업의 KSF여부), Y축은 역량의 상대적 수준.

4. 핵심역량 기반 전략 수립의 원칙

핵심역량이 파악되면 기업은 최우선적으로 이를 활용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립.

그러나 다수의 기업들이 핵심약점영역(4영역)을 보완하는데 전략의 최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현실. 약점영역의 경우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보완이 가능하다면 내부 자체개발 방식으로 보완하는 것을 고려.

하지만 독자개발 방식으로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들어가는 경우 외부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보완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유효한 전략인 경우가 많음. 만약 인수할만한 자금 여력이 있고 인수합병 노하우와 경험이 있는 경우 인수합병도 고려 가능.

내부환경분석 : 우리의 상황은 이렇습니다

어떤 기획이든 기업 내부 상황에 대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사업기획서라도 기업 내부에 이를 수행할 능력이 부족하다면 실현되지 않기 때문이죠.

이럴 때 우리 기업 상황만 나열하면 기획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어렵습니다.

목표치가 불확실해 보이기 때문이죠. 우리 상사들은 불확실한 목표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럼 이런 식으로 경쟁기업과 비교해서 설명하면 어떨까요?

‘우리 회사의 매출액이 올해 10% 성장했지만 경쟁사 A는 20% 성장했습니다.’

이 말속에는 ‘우리가 변화지 않으면 얼마 안 가서 우리는 시장에서 사라집니다’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상사의 관심을 끌려면 이렇게 우리의 상황을 비교해서 설명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우리는 비용에 민감하다.

모든 기업은 비용에 민감합니다.

매출액이 늘어나더라도 비용구조가 안 좋으면 자연스럽게 순이익이 안 좋아지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신규사업뿐만 아니라 기업의 내부 문제 개선도 기획의 중요한 이유가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 기업의 생산비용이 높다면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획이 필요합니다.

그럼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런 경우 비교분석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의 생산비용이 높은지 낮은 지를 알 수 있을 테니까요.

이럴 때 컨설턴트들은 NICE평가정보, CRETOP과 같은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지만,

우리는 이런 서비스를 활용하기 힘드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과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보고서가 있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에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에 상장된 기업들의

개별 사업보고서가 잘 정리되어 있어서 기업별 분석에 유용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보고서’는 동종업계의 전체 경영실적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기업경영분석 보고서를 가지고 우리 기업의 수준을 살펴볼까요?

한국은행 홈페이지(www.bok.or.kr)의 [조사ㆍ연구] 카테고리에서

[기업경영분석결과] 보고서를 다운로드하여서 우리 기업의 업종을 찾아 활용하면 됩니다.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우리 기업의 원가구성비율을 비교한 그래프 사례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직관적(1초 이내)으로 봤을 경우에 재료비가 높다, 경비가 낮다 등

상대적인 항목별 높낮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음 그래프는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그래프를 다르게 그린 사례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제조원가에서 재료비, 경비, 노무비, 재고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지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직관적(1초 이내)으로 봤을 때 어떤 점이 강조되어 있을까요?

바로 전체 제조원가에서 재료비, 경비, 노무비, 재고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지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위에 그래프를 활용해서 기획서를 작성한 사례입니다.

이렇게 문서로 정리하면 우리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겠죠.

사례처럼 우리의 강점을 살린 차별화 전략을 도출해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경쟁력에 민감하다 : 기술경쟁력 분석

기업환경에서는 기술경쟁력 분석을 빼놓을 수 없겠죠.

우리의 기술력이 경쟁국가, 경쟁기업 대비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알아야

미래를 준비(기획의 궁극적인 목적)할 수 있으니까요.

‘◯◯기술에서 우리는 선진국 80% 수준입니다’,

‘◯◯부품에서 우리와 중국의 기술격차는 1년입니다’라는

뉴스를 많이 들어 봤을 텐데, 이런 뉴스의 원천이 대부분 정부에서 분석한 결과입니다.

우린 이러한 분석 결과를 활용하면 됩니다.

정부에서 작성하는 보고서 중 대표적으로 ‘중소기업기술로드맵(smroadmap.smtech.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www.kistep.re.kr)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원하는 특정 분야의 국가별 기술 수준, 업계 최고기업의 수준, 국내 기술수준 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를 참조하여 기술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례는 우리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입니다.

이 포스팅은 <누구나 탐내는 실전 기획서>의 본문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내부 환경 분석

다음은 Bing에서 내부 환경 분석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 리마인드 전략
  • 경영학
  • 경영전략 강의
  • 핵심역량
  • 가치사슬분석
  • 내부환경분석
  • MBA
  • VCA
  • 담덕의경영학노트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YouTube에서 내부 환경 분석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마인드 전략 ③ 경영전략 강의 – 기업의 내부환경분석 and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분석 | 내부 환경 분석,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동창회 의 목적 다시 보기 | 남자들이 왜 동창회에 가야하느냐!? 이 영화를 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영화리뷰/결말포함] 2248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