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azzett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azzett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은세계의 학교도서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1,518회 및 좋아요 25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중요* 영상을 수업용으로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단, 링크를 통해서만 이용해주세요.
청소년 수준의 출처를 적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실습합니다.
일반도서, 신문기사, 기타 인터넷 자료의 출처를 적는 쉬운 방법을 안내합니다.
‘저출산 문제’를 주제로 과제를 준비한다고 가정하고, 과제에 활용한 자료의 출처를 함께 적어봅니다.
* 저작권 수업 영상(https://youtu.be/8HGU14ivIUE)을 함께 보면 좋습니다.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인생

보통 인터넷을 통해서 글을 읽더라도 주석,인용,참고문헌 등의 자세한 내용은 글 … 옛날에는 책과 신문이 있었다면 지금은 인터넷, 사이트, 기사 등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lonlonglife.tistory.com

Date Published: 9/26/2021

View: 1442

[각주 표기법] 신문기사, 인터넷자료 각주/ 참고문헌 표기법

전자주소를 함께 표기해야한다는 것입니다!! ​. ​. ​. 아 그리고. ​. 신문기사와 인터넷자료의. ​. 각주 표기법은. ​. 참고문헌 표기법과.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3/2022

View: 4212

카피킬러 출처표기 질문과 답변 –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 관련

출처 표기법을 확인하니 인터넷 기사를 참고한 경우 참고 문헌에 기자명을 적지않고 제목만 적는 걸로 안내되어있더라구요, 기사 인용의 경우 기자명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citation.sawoo.com

Date Published: 2/22/2022

View: 1294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semobakwi.tistory.com

Date Published: 6/27/2022

View: 4080

[논문작성]참고문헌 작성법-외국 문헌, 신문기사, 인터넷 기사 등

[논문작성]참고문헌 작성법-외국 문헌, 신문기사, 인터넷 기사 등. 출처 : KAIST 지식재산대학원 프로그램. 1. 학술지 논문(Journal Article)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geotimes.tistory.com

Date Published: 10/21/2022

View: 3955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 출처 쓰기 – Giaohangso1.vn

d여기에서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에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ou.giaohangso1.vn

Date Published: 11/30/2021

View: 7744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 ROOT – 티스토리

웹 문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로 참고했을 때는 저자명과 출판된 날짜를 기재하고 해당 웹 문서의 제목과 USL을 입력하고 참고한 날짜를 기재합니다. 저자명이 없을 때는 …

+ 여기를 클릭

Source: cptteemo.tistory.com

Date Published: 2/29/2021

View: 5680

올바른 참고문헌표기법, 이대로만 하세요! – 머니클라쓰

저자명, 『책 제목』, 출판사명, 발행연도, 페이지. · 저자명(발행연도), 「논문 제목」, 『논문집 제목』권 호수, 발행기관, 페이지. · 기자명, 「기사 제목」, <<신문 이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omadnomad.tistory.com

Date Published: 7/29/2021

View: 5993

Top 28 인터넷 기사 출처 14183 People Liked This Answer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 …

+ 여기에 보기

Source: toplist.khunganhtreotuong.vn

Date Published: 1/13/2022

View: 22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 Author: 은세계의 학교도서관
  • Views: 조회수 31,518회
  • Likes: 좋아요 256개
  • Date Published: 2020. 7.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GSF3nt5RWY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반응형

어떤 주제에 대해서 레포트를 쓰거나 논문을 작성하게된다면 참고한 문헌을 표시해야 한답니다.

보통 인터넷을 통해서 글을 읽더라도 주석,인용,참고문헌 등의 자세한 내용은 글 밑에 나열되어 있는 것을 많이 보셧을겁니다. 이처럼 참고한 문헌들도 일정한 순서대로 정리해서 참고문헌 목록으로 나열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본문에는 간단하게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 저자명과 출판연도 정도만 표기하고, 본문 뒤에 참고문헌목록을 나열합니다. 참고문헌 출처 표시를 통해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본문에 인용된 참고자료들의 출처를 쉽게 찾을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혼동되지 않도록 저자,출판연도,제목,출판지,출판사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정확하게 제공해야 한답니다. ^^!!

네이버 백과사전만을 보더라도, 참고문헌에 대한 표기를 아래쪽 하단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어떤가여? 한번에 목록으로 나와있으니 알아보기가 쉬운편이죠?

참고문헌 표기법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책과 신문이 있었다면 지금은 인터넷, 사이트, 기사 등 다양한 매체들이 즐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할수 있도록 정확하게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전문적인 컴퓨터 관련 논문도 참고한 책, 사이트 등을 표시해주게 됩니다.

외국 문헌 의 경우 영어는 알파벳 순서로 작성 합니다.

이름(저자), 『책이름』, 출판사명, 출판년도. 입니다

[1] Ashish Thusoo 외 8명(2009.), “Hive A Warehousing Solution Over a Map-Reduce Framework”, VLDB ’09. [2] Bergsma, S., Lin, D. & Goebel, R.(2008.), “Web-Scale N-gram Models for Lexical Disambiguation”, IJCAI ’08, pp.1507-1512. [3] Brants, T., Popat, A. C., Xu, P., Och, F. J. & Dean, J.(2007.), Large “Language Models in Machine Translation”, EMNLP ’08, pp.858-867. [4] Christopher Olston 외 4인(2008.), “Pig Latin: A Not-So-Foreign Language for Data Processing”, SIGMOD ’08. [5] Yvonne Geneovese, Ian Bertram(2011.), “Information 2020: Senario for Business Intelligence & Information Management”, Gartner. [6] “Cting on Customer Intelligence from Social Media”, SAS White Paper. [7] <ビッグデータ流通の陣>, 《日本經濟新聞》, 2012. 4. 18.

마지막에는 마침표(.) 를 잊지말아주세요! 중간 중간 쉼표(,)도 넣어주셔야 한답니다.

한국문헌 참고▼

이름(저자), 『책이름』, 출판사명, 출판년도. 입니다

[8] 김상현, “Big Data in Oracle”, Oracle Korea Magazine. [9] 김승우, “NoSQL의 등장과 분류”,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12년 4월. [10] 손주욱, “Bioinformatics로 모든 Big Data 분석”, KT종합기술원, 2011년. [11] 채승병 · 안시현 · 전상인, “빅데이터: 산업 지각변동의 진원”, CEO Information, 제851호. [12] 홍기현, “빅데이터 시대의 인프라 통합방안”,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월드 2012 컨퍼런스, 2012년. [13] “빅데이터 비즈니스 활용과 과제”,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12년 1월. [14] “빅데이터 시대: 공공부문 빅데이터 추진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사이트 발췌▼

[15] Apache Hadoop Project, http://hadoop.apache.org/ [16] IBM Big Data Success Stories [17] IBM Data Baby, https://www.youtube.com/watch?v=ZiqY7p1v950 [18] IEEE Standards Association 한국 공식 블로그 게시글 [19] S4, http://incubator.apache.org/s4/ [20] Storm, https://github.com/nathanmarz/storm [21]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 [22] http://popsci.hankooki.com/

언론,뉴스,신문▼

[23] Jaikumar Vijayan, “뉴욕시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분석 툴로 테러 및 범죄 막는다”, IT World Korea, 2012년 8월 13일자. [24] 김경민, “빅데이터 활용 아직 초보단계···스몰데이터부터 경험 쌓아야”, 매경이코노미 제1675호. [25] 과학카페, “미래과학의 첨병, 슈퍼컴퓨터 4부 슈퍼컴퓨터는 미래경쟁력”, KBS 1TV, 2012년 5월 7일. [26] 심재석, “빅데이터 전쟁의 승자는 누구될까”, 디지털데일리, 2011년 11월 25일자. [27] 안호천, “시장판도 흔드는 분석엔진 R”, 전자신문, 2012년 5월 7일자 21면. [28] 안호천, “클라우드 · 빅데이터 시대 변화가 살길”, 전자신문, 2012년 5월 23일자 9면. [29] 유효정, “고급분석으로 데이터 경영 시대 여는 기업”, 전자신문, 2012년 7월 9일자 17면. [30] 유효정, “데이터경영 핵심은 시스템보다 사람”, 전자신문, 2012년 7월 9일자 17면.

영어는 ABC 순서 이지만, 한글은 가나다 순으로 작성해야 한답니다.

또 만약 저자가 같으면 출판년도,작성일 등이 더 오래된 순서로 작성 합니다.

최근에는 논문에대한 인터넷 접근도 많이 편해졌답니다.

인터넷 검색업체 구글의 학술 전문검색 스칼라(바로가기 링크) 를

사용하시면 쉽게 검색을 할수 있답니다.

국내에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를 통해서

국내 논문을 검색해볼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어렵지 않죠?^^

이제 그럼 레포트를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흔히

출처 관련을 찾아보게 되는 것이 대학교 논문을 쓰거나

혹은

블로그에 자료를 인용했을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출처를 남김으로써

타인의 글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침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타인의 노고로

만든 저작물이 허락도 없이

무단으로 사용이 되고, 권리를 보호받지 못한다면,

창작의 문은 좁아지게 될 것이다.

논문은

논문 저자, 「논문명」, 발행처, 발생호(발행연도), 인용 쪽수 표기

예시

김건강, 「논문이란」, 대한민국대학교, Vol11(2020), p.11

단행본

단행본이란

한 권, 한 권이 단독으로 간행되는 서적을 뜻한다.

집필자(저자), 제목, 출판사, 발행연도, 인용 쪽수

예시

세모바퀴, “세상은 아름답다”, 사랑 출판사(2021), p.220~221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인터넷이 최고!”, 데일리 넘버원, 2021, 07. 07.

웹페이지

웹페이지 운영자 이름, 업데이트 일자, URL

예시

최운영자, 2021년 07월 07일, https://www.daum.net

(백과) 사전

(저자명), 항목, (백과) 사전 이름, 출판사, 발행연도

예시

농업용어사전, 농촌 출판사, 농촌진흥청(2020)

반응형

[논문작성]참고문헌 작성법-외국 문헌, 신문기사, 인터넷 기사 등

[논문작성]참고문헌 작성법-외국 문헌, 신문기사, 인터넷 기사 등

출처 : KAIST 지식재산대학원 프로그램

1. 학술지 논문(Journal Article) :

: 저자명. (발행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외국 학술지일 경우 학술지명은 이탤릭체로 기재

[외국] Willis, Bruce (2010). “An Empirical Study of Patent Management Performanc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Focusing on the Fast Follower Strategy of Samsung Electronics”,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25(2), pp. 334-356.

[온라인 학술지] Willis, Bruce (2010). “An Empirical Study of Patent Management Performanc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Focusing on the Fast Follower Strategy of Samsung Electronics”,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25(2), pp. 334-356. http://dx.doi.org/10.1006/joip.2010.0238

(accessed October 1, 2013).

[국내] 이몽룡 (2011) “국내 대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조직 운영현황 연구: LG전자 특허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전략연구, 15(2), pp. 123-135.

[온라인 학술지] 이몽룡 (2011) “국내 대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조직 운영현황 연구: LG전자 특허센

터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전략연구, 15(2), pp. 123-135. http://dx.doi.org/10.1006/jois.2011.0241

(2013-10-1 방문).

2. 학술대회 발표논문(Proceeding) :

: 저자명. (발행년). “논문제목”. 학술대회명, 개최지, 개최국, 페이지

[외국] Cruise, Tom (2001).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of Korean Companies: Patent

Licensing Decisions and Learning Opportunities”, 20th Annual IP Strategy Conference (IPSC)

2001, Tokyo, Japan, pp. 425-442.

[국내] 임꺽정. (2009). “특허침해소송의 균등론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한미일 3개국의 최근 10년

간 판례비교를 중심으로” 2009년 제15회 특허성과관리학회 학술대회,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pp.

31-50

3. 학위논문(Dissertation/Thesis) :

[영문 박사] Chang, I. (2010). “Biopolymer treated Korean Residual Soil: Geotechnical behavior

and Applications”, Ph.D. Thesi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Republic of Korea, 320 pages.

[영문 석사] Cook, Tim (2013). “Core Competence of Apple: with Focus on its Design

Capability”, Master’s Thesis,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USA 110 pages.

[국문 박사] 홍길동. (2013). “특허법상 권리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미국-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대전, 대한민국, 400 pages

[국문 석사] 이몽룡. (2000). “국내 상표법상 트레이드 드레스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120 pages

4. 지식재산권(Patents, trademarks, designs, copyrights) :

[미국특허] J.L. Lee et al. (1998). “GaAs Power Semiconductor Device Operating at a Low

Volt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 Patent 5,760,418, to ETRI, Patent and

Trademark Office, Washington D.C., 1998.

[유럽특허] Cooke, T. W. (1997). “UV light absorber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the

lightfastness of dyed textiles,” European Patent, 0 774 539 A3.

[국내특허] 강현진. (2013). “미래예측 기법을 이용한 서술형 퀴즈 답안작성 방법”, 특허등록 제

1321563호.

5. 판례

o 국내 :

[법원]

대법원 2004.6.24. 선고 2002다6951 판결.

서울고등법원 2005.11.23. 선고 2003나20147 판결.

서울지방법원 2004.2.13. 선고 2002가합30683 판결.

[특허법원]

특허법원 2013.5.9. 선고 2013허82 등록무효(특).

특허법원 2005.9.2. 선고 2004허7883 등록무효(상).

특허법원 2009.2.18. 선고 2008허3889 권리범위확인(특).

[특허심판원]

특허심판원 2012.12.17. 심결 2012당2456 특허무효심판.

특허심판원 2008.3.24 심결 2007당2503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

o 외국 :

[미국 연방대법원]

Brown v. Helvering, 291 U.S. 193, 203 (1934).

Office of Pers. Mgmt. v. Richmond, 496 U.S. 414 (1990).

[미국 연방항소법원]

Natural Res. Def. Council v. NRC, 216 F.3d 1180 (D.C. Cir. 2000).

Wilson v. Mar. Overseas Corp., 150 F.3d 1 (1st Cir. 1998).

Or. Steel Mills, Inc. v. United States, 862 F.2d 1541 (Fed. Cir. 1988).

[미국 연방지방법원]

Villar v. Crowley Mar. Corp., 780 F. Supp. 1467 (S.D. Tex. 1992).

Natural Res. Def. Council v. Fox, 93 F. Supp. 2d 531 (S.D.N.Y. 2000).

Hotchner v. Barrymore, 31 F. Supp. 928 (E.D.N.Y. 1940).

[미국 주법원. CA와 NY의 경우]

Green v. State of California, 165 P.3d 118, 121 (Cal. 2007).

Sakotas v. Workers’ Comp. Appeals Bd., 95 Cal. Rptr. 2d 153 (Ct. App. 2000).

M.I.F. Sec. Co. v. R.C. Stamm & Co., 459 N.E.2d 193 (N.Y. 1983).

Laro Maint. Corp. v. Culkin, 700 N.Y.S.2d 490 (N.Y. App. Div. 1999).

6. 단행본(도서)

: 저자명.(발행년), 서명, 발행기관, 발행기관이 위치한 지역

*외국 저자일 경우 성, 이름 순서로 기재, 서명은 이탤릭체

[외국] Grim, R. (1962). Applied clay mineralogy, McGraw-Hill, NewYork

[국내] 강현진 (2010). 특허법의 핵심, 카이스트 출판부, 대전

[온라인서적] Austen, Jane. (1813). Pride and Prejudice,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org/ebooks/1342 (accessed October 1, 2013).

7. 간행물(보고서) :

: 저자명.(발행년), 서명, 발행기관, 기관이 위치한 지역, 수록 페이지

[국내] 한국지식전략연구원. (2012). “지식재산분쟁에 따른 우수기술의 시장실패 사례분석 연구”,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서울, pp.23-56

[미국] Cruise, Tom. (2010). “Challenges of Patent Trolls and Respons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U.S. Department of Justice, Washington D.C., USA, pp.245-280

8. 잡지(Periodicals/Magazines) :

: 저자명. (발행년). “기사제목”. 잡지명, 간행월, 수록 페이지

[국내] 강현진. (2010). ”지식재산 인재양성이 미래전략이다”, 발명과 특허, 8월(2), pp.45-46

[외국] Willis, Bruce. (2013). “Sizing Up Patent Footprints”, Newsweek, December 13, 2013.

[온라인] Pete, Brad. (2013). “Money Talked Yesterday, Patent Talks Tomorrow.” Slate, January

14, http://www.slate.com/id/2180073, (accessed July 30, 2013)

9. 신문(일간지)

신문명.(발행년). “기사제목”, 발행일

*사실(fact) 중심의 보도기사는 저자를 기재하지 않음.

* 논평과 칼럼 등 의견과 주장이 담겨있는 기사는 저자를 명시함.

*신문은 판에 따라 페이지수가 변하므로 수록 페이지를 기재하지 않음.

[국내. 저자 있음] 강현진. (2013). “특허법원, 세계 특허허브에 도전하다”, 조선일보, 12월 3일.

[국내. 저자 없음] 조선일보. (2012). “특허법원, 세계 특허허브에 도전하다”, 12월 3일.

[외국. 저자 있음] Hulse, Carl. (2008). “Higher Limit for U.S. Insurance on Deposits”, New York

Times, October 1, national edition.

[외국. 저자 없음] New York Times. (2010) “Developments in North Africa and Across the

Middle East”, April 4.

10. 웹페이지

:저자명. 전체 웹정보원 제목(또는 해당 웹페이지 제목). 게시물 작성일 또는 가장 최근에 수정된

날짜, 기관명. 참고문헌으로 이용한 날짜, .

*참고문헌으로 이용한 날짜를 기재하는 것이 중요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포털 사이트의 게시물을 참조하였을 경우

*개인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일 경우

: 저자명, 게시물 적성일, 참고문헌으로 이용한 날짜, URL

[국내. 저자 있음] 강현진. (2013). “삼성전자의 2014년 의료기기 융복합 사업 진출 전략” 삼성전

자 홈페이지, http://www.samsung.com/corp/medicalstrategy.html. (2013-7-19 방문)

[국내. 저자 없음] 삼성전자. (2013). “삼성전자의 2014년 의료기기 융복합 사업 진출 전략”

http://www.samsung.com/corp/medicalstrategy.html. (2013-7-19 방문).

[외국. 저자 있음] Jolly, Angelina. (2010). “Tomb Raider and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Law, http://www.law.northwestern.edu/jolly/copyright.html

(accessed July 30, 2013).

[외국. 저자 없음] Attorney Park’s Patent Reports. (2012). “Hollow Victory of a Smartphone

Giant”, http://www.sp2000.org/2012/hollowvictory.html (accessed July 30, 2013).

11. 사전, 백과사전 등(참조 정보원) : 단행본 방식으로 기재

McDaniel, George (1994). IBM Dictionary of Computing, McGraw-Hill, New York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미국 특허출원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22055 좋은 평가 이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예전에는 논문을 작성할 때 도서나 인쇄된 신문 등을 통해서 문헌들을 참고했다면 요즘은 다양한 정보가 인터넷에 있어서 글을 작성하거나 할 때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기사를 참고하는 일이 많습니다. 이같이 참고한 문헌이 있다면 그 출처를 표기해야 하는 데요, 오늘은 이러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을 어떻게 작성하는가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인터넷을 제외한 인쇄된 문헌을 참고하는 것은 학위논문이나, 신문, 단행본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 기사를 참고하는 것과 더불어 인쇄된 문헌을 참고하셨을 때는 아래와 같이 표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학위논문

예) 저자명.”*** **** ****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단행본

예) 저자명. ” 단행복 제목”. 출판사명, 날짜

*신문

예) 기자명, “제목”. 신문사. 연도와 날짜

이처럼 인쇄된 문헌을 이용할 때는 출판된 날짜가 정해져 있지만, 인터넷 문헌 같은 경우 갱신주기가 빠르므로 출판된 날짜와 함께 참고한 날짜도 같이 기재를 합니다.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찾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URL과 프로토콜을 함께 반드시 표시를 해주셔야 합니다.

지금부터는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다양한 요소들을 기재할 수 있지만, ISO(국제표준기구)에서는 전자문헌이 인용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기재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제목

제공기관

판차사항

매체의 형태

발행물 명칭

출판사

출판날짜

인용된 날짜

개정된 날짜

총서사항

표준번호

접근형태

위 사항 외에도 때에 따라서 표기해야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전자문헌에 대한 참고문헌을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규정이 없어서 대학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 내용은 국제표준기구 기준으로 안내된 내용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웹 문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로 참고했을 때는 저자명과 출판된 날짜를 기재하고 해당 웹 문서의 제목과 USL을 입력하고 참고한 날짜를 기재합니다. 저자명이 없을 때는 생략 가능하며 저자명이 영어로 되어 있을 때는 성을 먼저 기재하고 이름은 뒤에 기재합니다. 그리고 웹페이지가 만들어진 날짜를 표시하며 제목을 기재합니다.

제목은 큰따옴표로 표기를 합니다. 출판된 연도나 날짜가 기재되어 있으면 다 기록을 하도록 합니다. 웹페이지 주소는 정확히 표기하도록 하고 참고한 날짜는 마지막 괄호로 표시해줍니다. 이상으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에 대한 정보를 알아봤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올바른 참고문헌표기법, 이대로만 하세요!

논문을 작성 할 때 여러가지 자료를 인용하거나 참고하여 작성 하게 되는데요.

그럴 경우 참고문헌을 꼭 제대로 기입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표절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도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책, 논문, 기사, 인터넷기사, 인터넷 동영상, 영화 등 어떤 자료라도 논문에 언급되었다면 기록해 두는 것을 잊지마세요.

참고문헌은 정해진 형식에 따라 보통 논문 하단이나 가장 뒷장에 기입 합니다.

참고문헌 유형별로 어떻게 표기를 하는지 표기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예시로 든 내용은 모두 가상의 자료들입니다.

1. 책

저자명, 『책 제목』, 출판사명, 발행연도, 페이지.

예) 홍길동,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길동출판사, 2020, 50p.

이어서 인용할 경우

위의 책, 55p.

다른 책 인용했다가 다시 인용할 경우

홍길동, 앞의 책, 60p.

같은 부분 다시 인용할 경우

위와 같음.

2. 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 제목」, 『논문집 제목』권 호수, 발행기관, 페이지.

예) 홍길동(2021), 「홍길동 아버지에 대한 연구」, 『계간길동』10, 길동대학교 아버지 연구소, 77p.

반응형

3. 신문기사

기자명, 「기사 제목」, <<신문 이름>>, 발행날짜, 수록 면.

예) 홍길동, 「홍길동 아버지 묻자, “나는 아버지가 없다” 대답」, <<길동일보>>, 2021.09.24, 10면.

4. 인터넷기사

기자명, <기사 제목>, <<매체명>>, 발행날짜, (URL)

예) 홍길동, < 이게 왜 여기에.. 홍길동 아버지 집에서 나온 홍길동의 사진>, <<길동일보>>,2021.09.24. http://www.gildong.com/news/1112222

5. 인터넷동영상

업로더 이름, <영상 제목>, 플렛폼 명, 업로드 날짜, URL (검색일자)

예) 길동TV, <아버지를 찾아서>, YOUTOBE, 2021.9.30, https://www.youtobe.com/gilDonGgg (2021.3.22)

6. 영화

감독명, <영화제목>, 제작사, 제작연도.

예) 홍길동, <아버지의 꿈>, 길동프로덕션, 1999.

Top 28 인터넷 기사 출처 14183 People Liked This Answer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Article author: semobakwi.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975 Ratings

Ratings Top rated: 3.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 흔히 출처 관련을 찾아보게 되는 것이 대학교 논문을 쓰거나 혹은 블로그에 자료를 인용했을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출처를 남김으로써 타인의 글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침해에서 자유로울..우리가 가지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 당연하게 받아 들여지는것도 발상의 전환으로 발명이 된다.! 아는 것이 곧 나의 힘이되고 돈이 된다.!

Table of Contents: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티스토리툴바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Read More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Article author: cptteemo.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3410 Ratings

Ratings Top rated: 3.0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이같이 참고한 문헌이 있다면 그 출처를 표기해야 하는 데요, 오늘은 이러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을 어떻게 작성하는가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이같이 참고한 문헌이 있다면 그 출처를 표기해야 하는 데요, 오늘은 이러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을 어떻게 작성하는가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예전에는 논문을 작성할 때 도서나 인쇄된 신문 등을 통해서 문헌들을 참고했다면 요즘은 다양한 정보가 인터넷에 있어서 글을 작성하거나 할 때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기사를 참고하는 일이 많습니다. 이같이 참..

Table of Contents: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Read More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인생

Article author: lonlonglife.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973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인생 참고문헌 출처 표시를 통해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 옛날에는 책과 신문이 있었다면 지금은 인터넷, 사이트, 기사 등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인생 참고문헌 출처 표시를 통해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 옛날에는 책과 신문이 있었다면 지금은 인터넷, 사이트, 기사 등 … 어떤 주제에 대해서 레포트를 쓰거나 논문을 작성하게된다면 참고한 문헌을 표시해야 한답니다. 보통 인터넷을 통해서 글을 읽더라도 주석,인용,참고문헌 등의 자세한 내용은 글 밑에 나열되어 있는 것을 많이 보..

Table of Contents: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 긴긴인생

Read More

신문&잡지 – 인용 및 표절 – Guides at Hanyang University

Article author: hanyang-kr.libguides.com

Reviews from users: 158 Ratings

Ratings Top rated: 4.9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문&잡지 – 인용 및 표절 – Guides at Hanyang University 신문이나 잡지 등 연속적으로 간행되는 매체에 실린 기사는 저자, 기사제목, 매체정보(신문명, 잡지명)을 기입해야 합니다. 신문과 잡지 기사의 인용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신문&잡지 – 인용 및 표절 – Guides at Hanyang University 신문이나 잡지 등 연속적으로 간행되는 매체에 실린 기사는 저자, 기사제목, 매체정보(신문명, 잡지명)을 기입해야 합니다. 신문과 잡지 기사의 인용 …

Table of Contents:

Chicago 스타일 소개

Chicago 스타일 참고 사이트

신문 & 잡지 인용하기

신문&잡지 – 인용 및 표절 – Guides at Hanyang University

Read More

[출처/인용] 웹페이지 인용/출처표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카피킬러에듀

Article author: edu.copykiller.com

Reviews from users: 40745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출처/인용] 웹페이지 인용/출처표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카피킬러에듀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를 이용하였을 때에는 URL과 접속 날짜를 정확하게 표기해야 합니다.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들은 수시로 삭제 또는 변경될 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출처/인용] 웹페이지 인용/출처표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카피킬러에듀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를 이용하였을 때에는 URL과 접속 날짜를 정확하게 표기해야 합니다.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들은 수시로 삭제 또는 변경될 수 …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를 이용하였을 때에는 URL과 접속 날짜를 정확하게 표기해야 합니다. 인터넷 자료/웹페이지들은 수시로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가 접속해서 자료를 획득한 날짜와 해당 URL을 표기함으로써 연구윤리 위반을 의심 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아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는 문서에 알맞게 표기하면 됩니다. Chicago style 1. 각주 ① 한글 주번호) “웹페이지명,” 사이트명,####년 ##월 ##일 수정, ####년 ##월 ##일 접속, URL. ex> 1) “2015년 제2차 연구윤리포럼,” 카피킬러 블로그, 2015년12월8일 수정, 2017년11월30일 접속, http://blog.naver.com/muhayuin/220562477814. ② 영문 주번호) “웹페이지명,” 사이트명, last modified 월 일, 연도, accessed 월 일, 연도, URL. ex> 1) “Evernote to end support for Clearly, Evernote for Pebble, and versions of Skitch,” Evernote blog, last modified Dec 17. 2015, accessed Nov 30,2017, https://blog.evernote.com/blog/2015/12/17/. 2. 내주 영어, 한국어 표기가 동일합니다. (사이트명 접속일자) ex> 한글 (카피킬러 블로그 2017년 11월 30일) ex> 영문 (Evernote blog Nov 30, 2017) 3. 참고문헌 ① 한글 “웹페이지명.” 사이트명. ####년##월##일 수정, ##월##일 접속, URL. ex> “2015년 제2차 연구윤리포럼.” 카피킬러 블로그. 2015년 12월 8일 수정, 2017년11월30일 접속, http://blog.naver.com/muhayuin/220562477814. ② 영문 “웹페이지명.” 사이트명.last modified 월 일, 연도, accessed 월 일, 연도, URL. ex> “Evernote to end support for Clearly, Evernote for Pebble, and versions of Skitch.” Evernote blog. last modified Dec 17, 2017, accessed Nov 30, https://blog.evernote.com/blog/2015/12/17/. APA style 1. 참고문헌 ① 한글 웹페이지명[웹사이트]. (접속일자). URL:url ex> 2015년 제2차 연구윤리포럼[웹사이트]. (2017.11.30). URL: http://blog.naver.com/muhayuin/220562477814 ② 영문 웹페이지명[Website].(접속일자)> Retrieved from url ex> Evernote to end support for Clearly, Evernote for Pebble, and versions of Skitch[Website]. (2017, Nov 30). https://blog.evernote.com/blog/2015/12/17/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서 자동으로 출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출처생성기 바로가기http://www.sawoo.com/refgen/ref/intro

Table of Contents:

[출처/인용] 웹페이지 인용/출처표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카피킬러에듀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khunganhtreotuong.vn/blog.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흔히 출처 관련을 찾아보게 되는 것이 대학교 논문을 쓰거나 혹은 블로그에 자료를 인용했을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출처를 남김으로써 타인의 글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침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타인의 노고로 만든 저작물이 허락도 없이 무단으로 사용이 되고, 권리를 보호받지 못한다면, 창작의 문은 좁아지게 될 것이다. 논문은 논문 저자, 「논문명」, 발행처, 발생호(발행연도), 인용 쪽수 표기 예시 김건강, 「논문이란」, 대한민국대학교, Vol11(2020), p.11 단행본 단행본이란 한 권, 한 권이 단독으로 간행되는 서적을 뜻한다. 집필자(저자), 제목, 출판사, 발행연도, 인용 쪽수 예시 세모바퀴, “세상은 아름답다”, 사랑 출판사(2021), p.220~221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인터넷이 최고!”, 데일리 넘버원, 2021, 07. 07. 웹페이지 웹페이지 운영자 이름, 업데이트 일자, URL 예시 최운영자, 2021년 07월 07일, https://www.daum.net (백과) 사전 (저자명), 항목, (백과) 사전 이름, 출판사, 발행연도 예시 농업용어사전, 농촌 출판사, 농촌진흥청(2020) 반응형

인터넷 기사를 참고문헌으로 작성하는 방법

예전에는 논문을 작성할 때 도서나 인쇄된 신문 등을 통해서 문헌들을 참고했다면 요즘은 다양한 정보가 인터넷에 있어서 글을 작성하거나 할 때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기사를 참고하는 일이 많습니다. 이같이 참고한 문헌이 있다면 그 출처를 표기해야 하는 데요, 오늘은 이러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을 어떻게 작성하는가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인터넷을 제외한 인쇄된 문헌을 참고하는 것은 학위논문이나, 신문, 단행본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 기사를 참고하는 것과 더불어 인쇄된 문헌을 참고하셨을 때는 아래와 같이 표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학위논문 예) 저자명.”*** **** ****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단행본 예) 저자명. ” 단행복 제목”. 출판사명, 날짜 *신문 예) 기자명, “제목”. 신문사. 연도와 날짜 이처럼 인쇄된 문헌을 이용할 때는 출판된 날짜가 정해져 있지만, 인터넷 문헌 같은 경우 갱신주기가 빠르므로 출판된 날짜와 함께 참고한 날짜도 같이 기재를 합니다.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찾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URL과 프로토콜을 함께 반드시 표시를 해주셔야 합니다. 지금부터는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다양한 요소들을 기재할 수 있지만, ISO(국제표준기구)에서는 전자문헌이 인용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기재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제목 제공기관 판차사항 매체의 형태 발행물 명칭 출판사 출판날짜 인용된 날짜 개정된 날짜 총서사항 표준번호 접근형태 위 사항 외에도 때에 따라서 표기해야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전자문헌에 대한 참고문헌을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규정이 없어서 대학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 내용은 국제표준기구 기준으로 안내된 내용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웹 문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로 참고했을 때는 저자명과 출판된 날짜를 기재하고 해당 웹 문서의 제목과 USL을 입력하고 참고한 날짜를 기재합니다. 저자명이 없을 때는 생략 가능하며 저자명이 영어로 되어 있을 때는 성을 먼저 기재하고 이름은 뒤에 기재합니다. 그리고 웹페이지가 만들어진 날짜를 표시하며 제목을 기재합니다. 제목은 큰따옴표로 표기를 합니다. 출판된 연도나 날짜가 기재되어 있으면 다 기록을 하도록 합니다. 웹페이지 주소는 정확히 표기하도록 하고 참고한 날짜는 마지막 괄호로 표시해줍니다. 이상으로 인터넷 기사 참고문헌에 대한 정보를 알아봤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인터넷,신문,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알아보기

반응형 어떤 주제에 대해서 레포트를 쓰거나 논문을 작성하게된다면 참고한 문헌을 표시해야 한답니다. 보통 인터넷을 통해서 글을 읽더라도 주석,인용,참고문헌 등의 자세한 내용은 글 밑에 나열되어 있는 것을 많이 보셧을겁니다. 이처럼 참고한 문헌들도 일정한 순서대로 정리해서 참고문헌 목록으로 나열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본문에는 간단하게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 저자명과 출판연도 정도만 표기하고, 본문 뒤에 참고문헌목록을 나열합니다. 참고문헌 출처 표시를 통해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본문에 인용된 참고자료들의 출처를 쉽게 찾을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혼동되지 않도록 저자,출판연도,제목,출판지,출판사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정확하게 제공해야 한답니다. ^^!! 네이버 백과사전만을 보더라도, 참고문헌에 대한 표기를 아래쪽 하단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어떤가여? 한번에 목록으로 나와있으니 알아보기가 쉬운편이죠? 참고문헌 표기법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책과 신문이 있었다면 지금은 인터넷, 사이트, 기사 등 다양한 매체들이 즐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할수 있도록 정확하게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전문적인 컴퓨터 관련 논문도 참고한 책, 사이트 등을 표시해주게 됩니다. 외국 문헌 의 경우 영어는 알파벳 순서로 작성 합니다. 이름(저자), 『책이름』, 출판사명, 출판년도. 입니다 [1] Ashish Thusoo 외 8명(2009.), “Hive A Warehousing Solution Over a Map-Reduce Framework”, VLDB ’09. [2] Bergsma, S., Lin, D. & Goebel, R.(2008.), “Web-Scale N-gram Models for Lexical Disambiguation”, IJCAI ’08, pp.1507-1512. [3] Brants, T., Popat, A. C., Xu, P., Och, F. J. & Dean, J.(2007.), Large “Language Models in Machine Translation”, EMNLP ’08, pp.858-867. [4] Christopher Olston 외 4인(2008.), “Pig Latin: A Not-So-Foreign Language for Data Processing”, SIGMOD ’08. [5] Yvonne Geneovese, Ian Bertram(2011.), “Information 2020: Senario for Business Intelligence & Information Management”, Gartner. [6] “Cting on Customer Intelligence from Social Media”, SAS White Paper. [7] , 《日本經濟新聞》, 2012. 4. 18. 마지막에는 마침표(.) 를 잊지말아주세요! 중간 중간 쉼표(,)도 넣어주셔야 한답니다. 한국문헌 참고▼ 이름(저자), 『책이름』, 출판사명, 출판년도. 입니다 [8] 김상현, “Big Data in Oracle”, Oracle Korea Magazine. [9] 김승우, “NoSQL의 등장과 분류”,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12년 4월. [10] 손주욱, “Bioinformatics로 모든 Big Data 분석”, KT종합기술원, 2011년. [11] 채승병 · 안시현 · 전상인, “빅데이터: 산업 지각변동의 진원”, CEO Information, 제851호. [12] 홍기현, “빅데이터 시대의 인프라 통합방안”,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월드 2012 컨퍼런스, 2012년. [13] “빅데이터 비즈니스 활용과 과제”,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12년 1월. [14] “빅데이터 시대: 공공부문 빅데이터 추진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사이트 발췌▼ [15] Apache Hadoop Project, http://hadoop.apache.org/ [16] IBM Big Data Success Stories [17] IBM Data Baby, https://www.youtube.com/watch?v=ZiqY7p1v950 [18] IEEE Standards Association 한국 공식 블로그 게시글 [19] S4, http://incubator.apache.org/s4/ [20] Storm, https://github.com/nathanmarz/storm [21]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 [22] http://popsci.hankooki.com/ 언론,뉴스,신문▼ [23] Jaikumar Vijayan, “뉴욕시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분석 툴로 테러 및 범죄 막는다”, IT World Korea, 2012년 8월 13일자. [24] 김경민, “빅데이터 활용 아직 초보단계···스몰데이터부터 경험 쌓아야”, 매경이코노미 제1675호. [25] 과학카페, “미래과학의 첨병, 슈퍼컴퓨터 4부 슈퍼컴퓨터는 미래경쟁력”, KBS 1TV, 2012년 5월 7일. [26] 심재석, “빅데이터 전쟁의 승자는 누구될까”, 디지털데일리, 2011년 11월 25일자. [27] 안호천, “시장판도 흔드는 분석엔진 R”, 전자신문, 2012년 5월 7일자 21면. [28] 안호천, “클라우드 · 빅데이터 시대 변화가 살길”, 전자신문, 2012년 5월 23일자 9면. [29] 유효정, “고급분석으로 데이터 경영 시대 여는 기업”, 전자신문, 2012년 7월 9일자 17면. [30] 유효정, “데이터경영 핵심은 시스템보다 사람”, 전자신문, 2012년 7월 9일자 17면. 영어는 ABC 순서 이지만, 한글은 가나다 순으로 작성해야 한답니다. 또 만약 저자가 같으면 출판년도,작성일 등이 더 오래된 순서로 작성 합니다. 최근에는 논문에대한 인터넷 접근도 많이 편해졌답니다. 인터넷 검색업체 구글의 학술 전문검색 스칼라(바로가기 링크) 를 사용하시면 쉽게 검색을 할수 있답니다. 국내에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를 통해서 국내 논문을 검색해볼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어렵지 않죠?^^ 이제 그럼 레포트를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인터넷 기사 출처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인터넷 기사 인용 방법, 인터넷 기사 각주, 인터넷 출처 표기법, 인터넷 신문기사 인용, 기사 인용 각주, 논문 기사 인용, 사진 출처 표기법, 기사 인용 APA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다음은 Bing에서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 출처
  • 출처쓰기
  • 참고문헌
  • 참고문헌쓰기
  • 저작권
  • 저작권지키기
  • 청소년
  • 고등학생
  • 과제
  • 자료조사
  • 사서교사
  • 사서교사수업
  • 학교도서관
  • 도서관
  • 사서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YouTube에서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 인터넷 기사 참고 문헌,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솔레노이드 밸브 결선 | 솔레노이드 Solenoid 이해 결선 응용 이정도는 알고가자 답을 믿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