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적 의사 소통 |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181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언어 적 의사 소통 –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azzett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cazzett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모두의 가정 HOME_ECO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786회 및 좋아요 1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비언어적의사소통 #눈맞춤
의사소통 학습 내용과 관련된 영상입니다.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12주차. 의사소통의 유형 2강.

언어적 & 비언어적 의사소통. 1. 의사소통방식의 유형. ※ 첫인상(호감) 결정 결정요인. 1) 언어적 의사소통. ⦁가장 간편한 의사소통 방법(생각 & 감정).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cw-n.xcache.kinxcdn.com

Date Published: 9/1/2021

View: 9118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 로 구성된 의사소통방법 !

1. 언어적 의사소통 … 표현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사람들 간 의견 전달 방법이다. … 대화, 전화, 발표, 회의 등이 있다. … 상대방의 입장에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fasmous.tistory.com

Date Published: 8/16/2021

View: 1960

비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 네이버 블로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것으로 범위가 언어적 메시지 범위보다 훨씬 넓다. 나. 사람의 자연발생적인 표현행동으로 감정 …

+ 여기에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8/18/2021

View: 9441

언어적 의사 소통 양상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언어적 의사 소통 양상 On Verbal Communication. 교육문화연구. 이 학술지 인용지수 조회 이 학술지 논문 검색. 약어 : JOEC. 2000, vol.6, 통권 6호 pp.

+ 더 읽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8/28/2021

View: 1160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의 유형 – TAPERD FIT

의사소통의 유형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어적 표현이 서로 다를 때, 신뢰할 수 있는 것은 비언어적 표현임 언어적 …

+ 여기를 클릭

Source: pianocture.tistory.com

Date Published: 7/14/2022

View: 7856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간략하게 요약 및 정리한 자료입니다. … 언어적 의사소통(verbal communication)은 언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으로서 어떤 사람이 말하는 것의 내용이다. 음성언어 속에는 …

+ 더 읽기

Source: m.reportworld.co.kr

Date Published: 9/13/2021

View: 2772

말, 언어, 의사소통이 의미는 다르다 – The Special

의사소통에서 언어는 메시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의미(내용)에 맞도록 규칙에 따라 소리를 단어, 단어를 구와 문장으로 배열(형식)하여 적절히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thespecial.kr

Date Published: 4/22/2021

View: 257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언어 적 의사 소통

  • Author: 모두의 가정 HOME_ECO
  • Views: 조회수 2,786회
  • Likes: 좋아요 19개
  • Date Published: 2022. 3.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EzQUWLJrXuc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 로 구성된 의사소통방법 !

반응형

의사소통이란 사회를 살아가면서

참으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의사소통 능력이 어떠냐에 따라서

가족구성원과 회사, 혹은 외부사회에서

내 모습이나 이미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이것이 인간관계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 소통 방법을 알고

항상 효과적인 소통을 할 필요가 있는데요.

그 방법을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로

나누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둘 중에 뭐가 더 중요하다고 말할 것도 없이

일상에서 둘다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소통에서 이점이 정말 많답니다.

1. 언어적 의사소통

언어를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종류로는 말로 하는 구두적, 문자나 글로

표현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구두적 Communication

정보 및 의견을 전달할 때에

가장 기본적이며 빈번하게 사용되는

사람들 간 의견 전달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의 요소로는

대화, 전화, 발표, 회의 등이 있다.

구두적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선

말을 시작하기 전 전달할 내용을 생각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야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메시지는 구체적이며, 명료하게

순서적으로 상대의 반응을 확인하면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입을 통해 표현되는 음성적 소통이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이때 얼굴표정과 목소리의 높낮이, 몸짓

등을 함께 사용한다면 훨씬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 문서적 Communication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이 기본이기는 하지만

공식적인 기록이나 중요한 내용일 경우,

혹은 기록으로 반드시 남겨야 할 때에는

문서에 의한 기록방법을 사용한다.

문서적 방법의 장점으로는 메시지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라는 점,

또한 내용을 잊어버린다고 하더라도

필요할 때마다 읽을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과 함께,

그 자리에서 말로 표현되고 사라지는

음성적 대화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며,

구체적으로 보고서, 계약서, 공람공고,

편지, 이메일 등이 있다.

반면, 글이나 문서의 읽기능력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전달되기 힘들며,

즉각적인 피드백이 어렵기 때문에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이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상징적, 신체적인 의미로써 구분된다.

– 신체적 Communication

*몸짓

신체적 접촉이나 움직임, 자세 등을 통해서

상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말을 하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는데요.

포옹, 악수, 뺨을 부비는 행동 등과 같은

직접적인 접촉과 머리, 어깨, 손 등을

움직이는 제스처가 그 종류 입니다.

*눈맞춤

상대에 대한 애정, 관심, 사랑, 호감,

수줍음, 불안감, 공포감 등의 감정이

눈을 맞추는 행위를 통해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표정

얼굴표정을 통해서 그 사람의 감정

컨디션을 알아볼 수 있으며,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이입 또한 가능하게 됩니다.

구두적인 대화도 중요하지만,

때로 표정은 음성을 통한 말보다

훨씬 정확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할 수가 있습니다.

*언어와 비슷한 행위(준언어)

말의 억양, 리듬, 목소리, 주절거림

등을 준언어라고 한다.

해당 의미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 요소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해서 평소에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만 한다.

음성언어 외에 눈에 띄는

현저한 특징이 보이지만,

그것만을 가지고 그 사람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평상시 성격, 습관 등을 알고 있어서

이러한 점들이 고려된다면

이러한 부분을 통해서도

상대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거리

상대와 나의 물리적인 거리, 만나는 장소,

바라보는 방향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도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대화할 때에 서로가

가까운 거리에서 대화하거나,

옆자리에서 이야기를 하거나 하는 경우

친밀한 경우가 훨씬 많다.

*옷차림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대의 옷이나

겉모습에서 중요한 메시지를 받기도 한다.

격식이 있는 곳이나 또한 격식을 차리지

않아도 되는 자리에 맞추어

센스 있게 갖추어 입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사람을

센스있고 생기있는 사람으로 기억한다.

– 상징적 Communication

상징적인 부분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사무실

위치와 크기, 정돈상태, 청결도 등은

사무실 주인의 성격, 직업, 사회적 지위

수준에 대한 의미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부모

부모가 누구고, 경제적 수준이나 직업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그 사람을 평가하기도 한다.

*차

값비싼 자동차는 부와 명예의

상징으로 작용합니다.

*집

집의 위치, 크기와 구조, 모양, 장식 등은

해당 사람의 부와 사회적 지위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기도 한다.

* 지위

어떤 사회적 지위는 그 사람에 대해서

존경심, 공경심 혹은 경외감, 무시 등을

표현하게 하는 메시지가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실제보다 조금 더 좋은

지위를 가진 거처럼 보이려고 애쓰기도 한다.

* 친구

사귀고 있는 친구들이 누구고 어떤 성격과

사회적 인식 수준을 가졌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언어적,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답니다.

가정이나 사회에서, 내 견해나 생각들을

조금 더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들을 알고

실천해본다면 유익한 점이 많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더 흥미롭고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비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1. 비언어의 정의

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것으로 범위가 언어적 메시지 범위보다 훨씬 넓다.

나. 사람의 자연발생적인 표현행동으로 감정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 언어 이면에 숨겨진 진심을 보여준다.

라. 비언어적 의사소통도 언어적 의사소통처럼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해독할 때 한가지 신호로는 많은 의미를 전달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자세, 동작, 옷, 스타일 등 여러가지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평소의 행동양식도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가. 신체적인 모습: 사람의 체형, 인상 등을 의미하며 ‘사람들은 체형이나 인상 등 외모가 좋은 사람이나 자신의 외모와 유사성이 있는 사람에 대해 호감을 가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나. 인공물: 인공물은 의상, 장신구, 소품 등을 의미한다. 의상은 밝거나 어두운 기분이나 느낌을 표현하기도 하며, 세대 분류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차이를 반영하기도 한다.

다. 동작: 몸짓, 시선, 표정 등을 의미한다. 몸짓은 몸의 일부나 전체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시선은 상대방을 바라보는 눈길, 표정은 마음속의 감정·정서·심리상태를 표현하는 얼굴 모습을 말한다.

라. 신체접촉: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로 스킨십이라고 부른다. 두려움·사랑·불안·온정·냉정함과 같은 넓은 영역의 느낌을 주며 대인관계에서 친밀함을 전달하는데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마. 음성행위: 음성에 수반되는 것으로 억양, 성량, 어조, 속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침묵, 목소리, 신음하기, 하품하기, 헛기침 등이 있다. 이것들을 통틀어 준언어라고 부른다.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의 유형

의사소통의 유형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어적 표현이 서로 다를 때, 신뢰할 수 있는 것은 비언어적 표현임

언어적 의사소통

구두에 의한 의사소통 : 대화, 연설, 발표, 소문

문서에 의한 의사소통 : 편지, 이메일, 문자, SNS

비언어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의사소통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복잡 미묘한 감정이나 태도 전달에 용이함

얼굴표정 :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비언어적 수단

– 미소 지을 때 : 호감, 사랑, 기쁨, 만족 표현

– 입술을 깨물거나 눈살을 찌푸릴 때 : 불쾌감, 분노 표현

음성 : 고저, 크기, 속도, 강약, 리듬, 억양, 잠시 멈춤, 웃음, 신음소리, 기침 등의 비언어적 소리

– 어조가 높을 때 : 적대감, 대립감

– 말의 속도와 리듬이 빠를 떄 : 상대방을 싫증나게 함

– 잦은 멈춤 : 노여움, 공포

눈맞춤 : 대화중 상대방에게 관심을 표현하는 방법

– 눈 맞춤을 피하는 것 : 관심 없다는 표현이 될 수 있음

– 눈빛에 적대감을 가지고 눈맞춤을 하면, 이 상대방은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음

제스처 : 신체의 움직임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메시지를 분명하고 강조하여 전달할 수 있는 방법

– 팔짱을 끼는 자세, 상대방 쪽으로 몸을 기울이는 자세, 몸을 뒤로 젖히는 자세 등

: 상대방에 대한 호감의 정도나 태도를 나타냄

접촉 : 신체적 접촉과 개인 공간의 접촉이 있음

– 신체적 접촉

: 연인의 신체적 접촉, 대화 중 상대방의 신체의 일부분을 건드리는 접촉 등

– 개인 공간의 접촉 : 자신의 주위에 물리적인 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개인 공간임

개인적인 친밀도에 따라 물리적인 거리가 변함

가) 친밀한 거리 : 0~45cm

나) 개인적인 거리 : 45~1.2m

다) 사회적 거리 : 1.2~3.7m

라) 공적 거리 : 3.7m 이상

2) 일방적 의사소통과 쌍방향 의사소통

일방적 의사소통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 특정한 피드백 과정 없이 말하는 사람이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TV방송, 신문기사, 라디오방송)

쌍방적 의사소통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라밍 서로 적절한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대화, 영상통화, SNS, 핸드폰)

3) 공식적 의사소통과 비공식적 의사소통

공식적 의사소통 : 공적인 권한의 계층을 따라 정보와 지식이 소통하는 것 (회사에서의 업무보고 및 지시, 결제 등)

– 의사전달 흐름에 따른 분류

팀장 -> 팀원 : 하향적 의사소통(지시, 명령)

팀원 -> 팀장 : 상향적 의사소통(보고, 의견 제시)

팀원 -> 팀원 : 수평적 의사소통(의견 교류)

비공식적 의사소통 : 조직에서 비공식적인 인간관계에 의한 소통(휴식시간의 대화, 사적인 대화 등)

2.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인

1)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저해 요인

인간적 요인

– 판단기준, 가치관, 선입견, 지식, 경험, 상태방에 대한 감정(호의 또는 악의) 등

조직 구조적 요인

– 조직의 성격, 규모, 조직 전문화에 의한 거리감 등

사회문화적 요인

–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다민족 국가, 방언, 전문용어, 은어 등

2) 조직 내 계층 간 의사소통의 저해 요인

상향적 의사소통 : 보고, 의견제시

하향적 의사소통 : 지시, 명령

팀장 : 요구사항을 명확히 전달해야 함

팀원 : 조직의 특성, 문화, 상급자의 성향을 고려해야 함

수평적 의사소통 : 협조 및 지원 요청

->이기주의적 사고방식, 상호경쟁적 문화, 불신을 유발하는 조직 분위기 등을 타파해야 함

의사소통은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수정 보완되는 순환적 반복적 과정임

3.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1)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

효과적인 언어표현

– 상대방에 대한 이해

– 구체적 명확한 표현

– 거부감이 없는 단어 사용

–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의 일치

경청

–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을 제대로 듣는 자세

– 상대방의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

자기개방

– 자신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과 공유

– 상대방이 경계심을 풀게 만듦

– 상대방 또한 자신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듦

자기 주장적 표현

– 자신의 감정, 요구, 의도,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함

– 타인에게 상처주거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함

피터드러커 교수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자기 표현이며, 현대의 경영이나 관리는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좌우된다.”

전 IBM 회장, “루이스 거스너”

“조직생활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첫째, 커뮤니케이션

둘째, 커뮤니케이션

셋째, 커뮤니케이션이다.”

빌 게이츠

“앞으로의 기업의 성패는 커뮤니케이션 갈등을 얼마나 줄이냐에 달려있다”

2) 효과적 의사소통과 비효과적 의사소통

효과적 의사소통

설명적 : 다루어지고 있는 내요엥 초점을 둠

탐색적 :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함

공감 : 메시지에 내재되어있는 상대방의 느낌과 감정에 반응함

동등성 :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수준이라고 가정함

쌍방향

비효과적 의사소통

평가적 : 메시지 또는 말하고 있는 사람을 평가하고 판단함

통제적 : 다양성을 모색하기보다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킴

무관심 : 진실된 관심이 부족함

우월성 : 어느 한 입장이 우워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함

일방향

1. 의사소통의 유형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적 의사소통 : 말의 내용에 따라 의미가 결정되는 것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말이 아닌 방법(시각적 요소, 청각적 요소)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비언어적 의사소통

일방적 의사소통과 쌍방향 의사소통

– 일방적 의사소통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 특정한 피드백 과정이 없이 말하는 사람이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 쌍방향 의사소통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적절한 피드백을 주고 받는 과정이 포함된 것

공식적 의사소통과 비공식적 의사소통

– 공식적 의사소통 : 공적인 권한의 계층을 따라 정보와 지식이 소통하는 것

– 비공식적 의사소통: 조직에서 비공식적인 인간관계에 의한 소통

2.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인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저해 요인

– 의사소통과정 중 존재하는 블랙박스에 의해 저해되는 것

인간적 요인 : 개인의 판단기준, 선입견, 지식과 경험

조직 구조적 요인 : 조직의 성격, 규모, 전문화

사회문화적 요인 : 다민족 국가, 방언, 전문용어 등

조직 내 계층 간 의사소통의 저해 요인

– 조직계층간 의사소통은 하향적, 상향적, 수평적 의사소통이 있음

하향적 의사소통 시 상급자가 요구사항을 명확히 전달해야 함

상향적 의사소통 시 조직 문화, 상급자의 성격이나 성향을 고려하여 의사소토을 해야 함

수평적 의사소통 시 동료, 부서 간 이기주의 상호 경쟁적 문화 등으로 의사소통이 저해될 수 있음

3.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

– 효과적인 언어 표현, 경청, 자기 개방, 자기 주장적 표현의 방식을 활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

효과적 의사소통과 비효과적 의사소통

효과적 의사소통 : 설명적, 탐색적, 공감, 동등성, 쌍방향

비효과적 의사소통 : 평가적, 통제적, 무관심, 우월성, 일방향

말, 언어, 의사소통이 의미는 다르다

6살 귀여운 꼬마친구 미소(가명)를 만난 건 재작년 어느 가을이었다. 낮선 공간과 낮선 사람이 있는 환경에 격렬히 저항 하듯이 필사적으로 울부짖으며 아이는 엄마에게 매달려 있었다. 일부러 아이를 떼어놓으려는 어머님께 그냥 두시라고 조금 힘드시겠지만 괜찮으시면 아이를 안고계시라 부탁드렸다. 등을 어루만지고 토닥토닥 엄마의 손길을 느끼게 해 주시라는 조언과 함께. 울음소리가 줄어들고 아이는 스스로 엄마의 몸에서 떨어져 서성거리기 시작했다. 나는 아이의 행동을 살피며 어머님께 아이와 집에서 노는 것처럼 놀아 달라 요청하고는 아이와 엄마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첫 시간은 항상 아이와 양육자의 상호작용을 관찰한다. 의미 있는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아이가 가진 의사소통 능력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육자의 반응성과 엄마가 아이의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하는지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장난감을 선택한 엄마는 “미소야~ 이리와~ 이것 봐~”라며 미소를 불렀다. 몇 번의 시도에도 미소의 반응이 없자 엄마는 아이를 가만히 바라보고 계셨다. 그리고는 언어가 안 되니(정확히 어머님의 의도는 말-구어) 언어치료를 받고 싶다고 하셨다. 이때부터 나는 엄마를 붙잡고 틈만 나면 의사소통! 의사소통! 의사소통! 주구장창 의사소통! 특히나 초기에는 의사소통 의도/기능을 강조하는 부모 상담을 진행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발달장애를 지닌 친구들을 대하는 부모, 교사, 치료사들 중 가끔 말과 언어 그리고 의사소통 용어의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때로는 이러한 용어들이 동의어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발달장애를 지닌 친구들과 함께하는 이들은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각 용어들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적합한 교육적 지원이 무엇인지 결정하는데 있어 혼동이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소 어머님은 의사소통을 말하기로 생각하고 계셨다. 때문에 엄마는 소리를 내어 낱말을 구어로 표현하면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고 여기셨고 그것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셨다. 그러나 실제 중재의 목표는 엄마의 생각과 달랐다. 미소에게 시급한 것은 의사소통 능력이었다. 엄마와 상호작용 하기 위한 행동이나 의도적 의사소통 시도를 거의 보이지 않는 미소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은 말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엄마와 상호작용 하고자하는 마음, 의사소통 의도를 갖도록 하고 그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미소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방식을 찾아주는 것이었다.

말, 언어,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나의 생각, 감정, 느낌, 정보 등의 메시지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과정이다.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송신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형성하고 말이나 제스쳐, 쓰기 등의 의사소통 방식(modality)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메시지를 전달받는 수신자는 다른 사람으로 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그 정보를 이해한다.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 중 주로 사용되는 의사소통 방식은 말이다. 말(speech)은 메시지를 소리 신호로 만들기 위해 호흡기관, 발성기관(성대, 연인두)와 조음기관(혀, 입술, 입천장)을 움직이는 과정이다. 그리고 언어(language)는 메시지(생각, 느낌, 사건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 또는 상징들이 특정한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체계이다. 의사소통에서 언어는 메시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의미(내용)에 맞도록 규칙에 따라 소리를 단어, 단어를 구와 문장으로 배열(형식)하여 적절히 사용하는 영역의 체제이다.

말, 언어, 의사소통의 관계를 잘 드러내주는 도식 <그림 2>를 살펴보자. 의사소통 틀 안에서 구어(verbal language) 또는 문어의 언어적 방식 뿐만 아니라 눈맞춤, 감정공유, 의도적 발성, 손짓 등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용어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생긴다면 구어 방식 또는 다른 특정 방식을 선택하는것에 대한 고민보다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할 것인지 고민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고민은 중재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요즘 미소는 울음, 웃음, 발 구르기, 고개 끄덕이기, 제스처 등의 비언어적 방식으로 의사소통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이 의도 표현을 했을 때 원하는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 상황에서 미소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으로 의사소통 목적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아직은 드물기는 하지만 비누방울 놀이를 하고 싶으면 주먹을 쥔 채 입에 대고(도구적 기능), 하고 싶지 않은 놀이감을 보여주면 발을 구르고 화를 낸다(사적 기능). 그리고는 빈 바구니를 가져와 내 앞에 놓는다(통제적 기능). 새로운 놀잇감을 보고 눈을 잔뜩 찡그리고 턱을 들고는 고개를 좌우로 살피는 시늉을 한다(발견적 기능). 또한 미소가 먼저 의사소통을 개시하는 의사소통 전달자의 역할 그리고 간단한 생활 관련 지시어들을 듣고 이해하는 수용자의 역할도 조금씩 시작했다. 조금씩 조금씩 미소는 의사소통 능력(다른 사람과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언어적이고 화용적인 요소들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가려 걸음마를 하고 있다. 이제 막 자라나기 시작한 미소의 의사사통 능력이라는 새싹을 어떻게 잘 자라게 해야할까? 이것은 다음 원고에서 알아보자.

참고문헌

김수진(2012). 교사와 부모를 위한 청각장애 아동 교육. 서울: 학지사.

Justice, L. M, & Redle, E. L.(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A Clinical Evidenced-Based Approach (3r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임상근거기반 의사소통장애(박현주, 이은주, 표화영, 한진순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Kuder, S. J. (2012). Teaching Students with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abilities (3rd edition). Allyn & Bacon. 언어장애와 의사소통장애: 학령기아동 가르치기(김화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8).

한효정/ 특수교육학 박사/ 언어재활사/ 발달장애지원전문가 포럼

※ 위 글은 <함께웃는재단>의 후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언어 적 의사 소통

다음은 Bing에서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 #중학교 #기술가정 #가정수업 #온라인수업 #수업자료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YouTube에서 언어 적 의사 소통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식채널 e- 눈맞춤의 힘 (비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 적 의사 소통,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안전 의식 답 | (중등 10편) 재밌게 배우는 학생안전 프로젝트 - 안전의식 확립하기 4864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